Development/Java (72) 썸네일형 리스트형 Annotation : Retention Retention Annotation은 meta Annotation이 얼마동안 유지되는지를 정한다.사용법은 아래와 같다Retantion(RetentionPolicy.SOURCE) : Annotation이 소스 코드에만 존재하고 class 파일이나 runtime 시에 나타나지 않는다.Retantion(RetentionPolicy.CLASS) : compiler가 class파일에 기록은 하지만 runtime시에 나타나지 않는다. Retantion을 명시하지 않으면 default가 CLASS이다.Retantion(RetentionPolicy.RUNTIME) : compiler가 class파일에 기록을 하고 runtime시에 영향을 준다. Meta Annotaion Annotation을 지정할 때에 특정 field나 method에 한정해서 지정해 줄 수 있다. @Target(ElementType.FIELD)위와 같이 사용하게 되면 해당 Annotation은 Field에만 사용할 수 있게된다.FIELD 이외에도 다른 타입들이 존재한다.TYPE(Class, interface..) METHOD PARAMETER CONSTRUCTOR LOCAL_VARIABLE ANNOTATION_TYPE PACKAGE여러개를 사용하고 싶을 때에는 다음과 같이 Array형태로 지정한다.@Target({ElementType.FIELD,ElementType.METHOD }) Type-Safe Code란? Compile Time에 object의 type이 매칭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코드를 말한다.java의 Generic이 그 예가 된다. Fileld명을 테이블 컬럼명으로 바꾸자 가끔 이런것이 필요할 때가 있다.userId 를 USER_ID 로 바꾸는 기능.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Exception { String regex = "([a-z])([A-Z])"; String replacement = "$1_$2"; String str = "UserId"; String value = ""; value = str.replaceAll(regex, replacement).toUpperCase(); System.out.println(value); }} Tomcat 구동시 라이브러리를 못찾을 경우.. 해당 workspace 아래에 있는 .metadata\.plugins\org.eclipse.wst.server.core\tmp0\wtpwebapps\프로젝트 명\WEB-INF이 폴더를 찾아가서 lib가 제대로 들어가 있는지 확인해 보자..이클립스 화면에 보인다고 해서 다 돌아가는게 아니더라...-_-;;프로젝트 publising 할대 위에 폴더로 jar 파일이랑 다 들어가는데 그때 안들어가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그러니... 잘 기억해두고 찾아보자..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1. newFixedThreadPool vs newCachedThreadPool일단 doc 문서를 참고 하자면 아래와 같이 설명이 되어있다..newFixedThreadPool();Creates a thread pool that reuses a fixed number of threads operating off a shared unbounded queue. At any point, at most nThreads threads will be active processing tasks. If additional tasks are submitted when all threads are active, they will wait in the queue until a thread is a.. 오버라이딩 규칙 1. 오버라이딩 할때에는 접근 제한자의 범위가 같거나 커야한다. 2. 오버라이딩 된 하위 클래스의 메서드에 throws 구문이 있으면 상위 클래스의 오버라이딩을 준 메서드도 반드시 해당 예외 클래스에 준하는 throws 구문이 있어야 한다. 맨날 오버로딩하고 헷갈리는 오버라이딩규칙도 있다는것을 처음 알았다 참고로 오버 로딩은 매개변수가 다르거나 매개변수의 자료형이 틀린 동일한 메서드를 말한다.까먹지 말아야지.. Java에서 Null 값을 비교할 때 음.. 미묘한 내용이라 잘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좀 전문적인 관점에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어려운 내용이지만 오히려 이편이 이해가 더 빠를 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먼저 객체란 것은 무엇이고 변수란 것은 무엇인가? 그냥 다 그냥 값을 저장하는 공간 아닌가? 객체는 힙(heap)이라는 메모리 영역에 생성됩니다. 힙은 프로그램(프로세스 process)이 실행되는 동안 무언가 저장할 공간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변수는 스택(stack)이란 메모리 영역에 생성됩니다. 스택은 쓰레드(thread)가 실행되는 동안 사용되는 영역입니다. (쓰레드란거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개의 쓰레드가 있을수 있습니다. 각 쓰레드는 고유의 스택영역을 가지지만 하.. Deep Copy vs Shallow Copy 예전에 시험에서 나왔었는데...그때는 이게 뭔말인가 했다. -_-;;어디서 듣도 보지도 못한것이 굴러나왔나 했는데... [직역]Deep copy - 깊은 복사Shallow copy - 얕은 복사 Deep copy원본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새로운 객체나 배열을 생성하는것원번이 바뀌어도 복사본은 독립적이기 때무에 영향이 없다. Shallow copy배열이나 객체를 복사할때 단순히 참조만 복사하는것.원본이 변경됨면 복사본도 변경된다. 까먹지 말자꾸나! 객체에는 메서드가 포함되지 않는다? 객채가 생성되면 인스턴스 변수는 포함이 되지만 메서드는 포함되지 않는다.왜냐고??인스턴스 변수는 인스턴스마다 다른 값을 가질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다.그런데 메서드는 변하는게 아니다.그래서 메모리를 낭비해 가면서 인스턴스를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 라고 오늘 책에서 봤다...처음 알았네 -_-;;;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