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마이크로서비스8 그림으로 공부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구조 최근에는 마이크로 서비스라는 단어가 굉장히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다. 클라우드환경이 당연히 여겨지고 거기에 배포하여 운영하는 소프트웨어들이 많아지면서 어플리케이션의 구조를 마이크로서비스로 해야 한다는 이야기는 쉽지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생각했던것보다 기존 모놀리스 오플리케이션을 마이크로서비스로 전환을 한다는 것은 쉽지않은 일이다. 그리고 온프라미스에서 운영되었던 환경들을 클라우드로 이전하는 것도 많은 것들의 대한 검토가 필수적이다. 그만큼 마이크로서비스는 알아야 되는것도 많고 많은 영역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 어디서부터 공부해야 할지도 막막해진다. 그림으로 공부하는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이 책은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기에 좋은 책이다.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한 배경부터 시작해서 구조, 패턴.. 2022. 8. 21. [나는 리뷰어다]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서비스 구축 최근에는 처리해야 할 서비스들을 도메인별로 나누어서 마이크로 서비스로 구축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러다 보니 서비스들 간에 서로 통신을 해야 할 일들이 많아지게 되고 이런 처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많아졌다. 그중 하나의 방법으로 이벤트 기반으로 정의를 해서 정보를 가져올 수 있는 기법들이 나오게 되었다. 먼저 이벤트를 정의 를하고 프로듀서는 이벤트를 생성하게 된다. 그리고 그 이벤트를 필요로 하는 컨슈머들은 해당 이벤트를 소비함으로써 프로세스를 처리하게 된다. 간단하게 말하긴 했지만 이벤트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처리해야 할 일을이 많다. 특히 정상처리 상태에서는 괜찮지만 비정상적으로 처리가 잘못될 경우에 대한 생각들을 많이 해야 한다. 이 책은 이벤트 기반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해서 무엇이 .. 2021. 5. 23. [나는 리뷰어다] 엔터프라이즈 자바 마이크로 서비스 이 책은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한 내용의 책이다. 기초부터 실제 구현까지 다루면서 내용이 이어지는대 다음과 같은 장단점을 찾아 볼수 있었다. 장점 -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한 개념에 대해서 이해를 할 수 있다. -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한 여러가지 아키텍처들에 대한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 마이크로 서비스를 구성할 때 어떠한 툴들이 사용되는지, 또는 툴은 어떻게 사용할 수 있는지 간단히 체험해 볼 수 있다. 단점 - 실제 코드가 나오긴 하지만 배경지식 없이 책만으로는 이해하기는 힘들 것 같다. - 개인적으로는 코드와 툴에 대한 집중을 하던지 아니면 이론에 대한 내용을 집중을 하던지 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에 써놓은 장단점 처럼 초보자들이 공부하는데 읽은 책으로는 어려움이 클것 같다.. 2020. 7. 1. Pivotal Cloud-Native Day 2019 Seoul 을 다녀와서 Pivotal 에서 개최한 Cloud-Native Day 세미나에 다녀왔다. https://connect.pivotal.io/CND_Seoul_2019.html Pivotal Cloud Native Day 2019 Seoul Pivotal combines our cloud-native platform, developer tools, and unique methodology to help the world’s largest companies transform the way they build and run their most important applications. Our technology is used by Global 2000 companies to achieve str connect.pivotal.. 2019. 7. 4. TCC가 뭐지??? 마이크로서비스를 구현(?) 하는 방법으로 TCC 라는 방법을 사용한 기사가 있어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https://dzone.com/articles/transactions-for-the-rest-of-us원문은 위에 dzone 사이트에 있다. TCC : Try-Confirm/Cancle 예약 시스템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예약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이루어진다. 비행기와 자동차를 각각의 업체에서 예약을 한다. 바르셀로나로 가는 비행기를 예약을 하고 스페인 남부로 가기 위한 자동차를 예약 한다고 가정해보자. 비행기 표가 없으면 차를 예약 할 필요가 없고 차가 없으면 비행기를 예약할 필요가 없다. 결론적으로 둘다 예약 가능 해야 예약을 한다. TCC에서 정의하는 기본적인 단계1. 항공사에 HTTP POST.. 2018. 9. 7. [길벗 개발자 리뷰어] Node.js 마이크로 서비스 코딩 공작소 길벗 페이스북에서 진행한 개발자 리뷰어에 선정되어서 좋은 책을 받게 되었다. 여러가지 책들이 있었는데 그중 내가 선택한 책은 "Node.js 마이크로서비스 코딩 공작소" 이다. 우선 선택한 이유는 내가 관심있어 하는 Node.js 와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해서 알수 있을 것 같았다. 그리고 약간 두마리 토끼를 한번에 잡아보려는 생각에 선택을 하게 되었다. 책 표지는 위 사진에서 볼수 있듯이 아주 깔끔하게 되어있다. 요즘 트랜드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요즘 개발 관련 서적들 보면 정말 색감이 좋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는 그런 표지들을 가지고 있는 책들을 좋아한다. 전에도 한번 리뷰에서 쓴적이 있었던 것 같은데 개발 서적들은 코드들이 많이 있어서 딱딱할 수 있기 때문에 책 색깔이라든지 그림들이 좀더.. 2018. 4. 19. [한빛리더스14기]실전 스프링 부트 워크북! 회사에서 Spring boot를 사용하기 시작한지는 한 1~2년 정도 된것 같다. 쓴다기 보다는 Spring 사이트에 있는 소스들을 가져다 붙이는 수준이었다. 체계적으로 공부해본적은 없고 눈앞에 닥치면 찾아서 하다보니 부족한 점이 많이 느껴졌다. 이번에 받은 이 "실전 스프링 부트 워크북"은 그런 부족한 점을 채워줄수 있는 좋은 가이드가 되었다. Chapter 1에서 부터 4까지는 Spring Boot를 실습하기 위한 준비 단계정도로 볼수 있다. 기본적인 이론과 설명들, 프로젝트 구성에 대해서 소개를 해주고 있다. 그리고 Chapter 5부터 본격적으로 Spring Boot를 가지고 Web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시작한다. 특히 Chapter 6 을 보면 Spring Boot Test 에 대해서 설명을 하.. 2017. 6. 20. [한빛리더스14기]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구축 내가 마이크로 서비스 라는 말을 처음 들었던 것은 재작년이었던 것 같다. 회사에서 업무 때문에 처음 접하게 되었던 이 용어는 좀처럼 이해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리고 마이크로 서비스라는것 자체가 아직은 먼 이야기라고 생각이 되었다. 그때만 해도 "말이 쉽지. 이게 되겠어?" 라는 의심이 더 컸던것 같다. 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서비스 들이 기존의 물리적 인프라 위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게 아니라 클라우드 상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이 많아 지면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라는게 더 힘을 받고 있는것 같다. 마이크로서비스 마이크로서비스란 작고 자율적으로 협업하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단어의 뜻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 않다. 말 그대로 "Mirco(작은단위)" + "Service", 작은 단위의 서비스를 말한다. 각각.. 2017. 4. 1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