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buntu8 VirtualBox 에서 Ubuntu Server 폴더 공유하기 VirtualBox 에서 Ubuntu Server 를 설치하고 폴더 공유하려다가 간신히 성공한 내용이다. ㅡㅡ;; 보통 찾아보면 Virtual Box 설정 -> 공유폴더 -> 머신 폴더 하위에 추가 -> 공유할 폴더 지정 하라고 나온다. 그리고 나서 "장치" 메뉴에 "게스트 확장 이미지 삽입" 이라고 하면 자동으로 무엇인가가 설치 된다고 나오던데 그것도 안되더라... 그럼 우선 위에 언급한 거에서 "게스트 확장 이미지 삽입" 까지는 동일하다. 그 다음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 # 게스트 확장 이미지를 바인드할 디렉토리 생성 & cdrom mount mkdir tools cd tools sudo mount /dev/cdrom ./tools/ 이렇게 하면 시디롬에 있던 정보들이 tools 디렉토리로 들어온다... 2019. 4. 30. [Gradle]Ubuntu 에서 Gradle 설치하기 Ubuntu 에서 gradle 설치를 해보자.설치 방법은 정말 간단하다.sudo apt-get install gradle$ sudo apt-get install gradleReading package lists... DoneBuilding dependency tree Reading state information... DoneThe following additional packages will be installed:이렇게 하면 설치가 쭉~~ 시작된다.gradle -v------------------------------------------------------------Gradle 2.10------------------------------------------------------------Bui.. 2018. 10. 19. Docker 로 mysql 설치 및 접속 하기 Docker 로 mysql 를 올려봤다. 실행시키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docker run --name mysql-db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 -d mysql 이렇게 하면 mysql container 가 구동된다. docker contain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e99420ff2ee4 mysql "docker-entrypoint.s…" 26 minutes ago Up 6 minutes 0.0.0.0:3306->3306/tcp, 33060/tcp mysql-db 여기까지는 쉬웠다. 그런데 내 로컬 컴퓨터에서 저 DB 에 접속을 하려고 하니.. .접속이 안됐다. 참고로 저 위치는.. 2018. 9. 18. Docker 사용시 sudo 없이 사용하기 Docker 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루트 권한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냥 쓰려면 매번 sudo 를 붙여 쓰던지 아니면 root 권한으로 변경해서 사용해야 한다.root 로 변경해서 사용하기는 좀 그렇고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를 docker 그룹에 등록을 해주면 된다. sudo usermod -aG docker [현재 사용자] usermod : 사용자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G (--groups) : 새로운 그룹을 말한다.-a(--append) : 다른 그룹에서 삭제 없이 G 옵션에 따른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한다. 그리고 나서 우분투를 재기동 해주면 sudo 없이 사용할 수 있다. sudo systemctl reboot 또는 sudo -su - [현재사용자] 로 해주면 재기동 없이 사용할수 있다. 혹시라도 .. 2018. 9. 10. [K8S] Kubernetes 설치 ( in Ubuntu in AWS) 현재 AWS EC2 에 올라가 있는 ubuntu 에 kubernetes를 설치해 보았다. 그런데 설치를 하다보니 프리티어로 받은 t2.micro 가지고는 너무 성능이 느렸다. 거의 접속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래서 어차피 설치하고 지울거니깐 t2.large로 올렸다. 설치 전에 Docker 가 먼저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Docker 가 설치 안되어 있다면 https://docs.docker.com/install/linux/docker-ce/ubuntu/#set-up-the-repository 여기 참고하거나 아래 링크 에도 내용은 나와있다.) https://kubernetes.io/docs/setup/independent/install-kubeadm/ 여기에 들어가보면 친절하게 설치 하는 방법을 .. 2018. 8. 26. [AWS] EC2 Ubuntu 서버에 FTP 서버 설정 최근 백기선님이 하시는 방송을 보면서 Docker를 따라 해보려고 하니 내가 가지고 있는 Mac 에는 한계가 있었다. 설치를 하려고 하니 설치가 안 된다고 한다..2010년 mid 맥북 프로인데.. 그래서 어쩔수 없이 Docker는 AWS에 올려놓은 Ubuntu 에 설치하고 따라하기 시작했다.그런데 다시 문제가 발생했다. 내가 로컬에서 작성한 파일을 EC2 서버에 올려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거지????그래서 찾기 시작했다. 일단 작동중인 Ubuntu 서버에 FTP 설정이 필요했다. 1. Ubuntu 서버에 vsftpd 를 설치한다. 먼저 apt-get 을 업데이트 한다.sudo apt-get updatecs 그리고 vsftpd를 설치한다. vsftpd(Very Secured FTPD) : 우분투에서 .. 2018. 4. 1. [AWS]AWS 에 가상서버 만들기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넷북을 서버로 켜놓을까 하다가 항상 켜놓을 수 없고 매일 사용할때마다 코드 꼽고 하는 작업이 번거로웠다. 그리고 SSH로 접속을 해보았는데 좀 느려서 써먹기는 좀 힘들어 보였다. 그래서 AWS 에 가상 서버를 한번 만들어서 써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어차피 프리티어 기간에는 어느정도 수준 까지는 공짜로 사용할수 있으니 딱 좋았다. 그리고 예전에 AWS 세미나 갔을때 받았던 크래딧도 있어서 이 기회에서 써봐야 겠다고 마음먹었다. 먼저 아마존 Console Home 에서 EC2 를 클릭하고 나오는 화면에서 Create Instance 밑에 있는 Launch Instance 를 클릭한다. 여기에서는 AWS 에서 만들 가상 서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 아래에 보면 "Free Tier .. 2017. 6. 17. 우분투 리눅스 설치 삽질기! 집에 있던 삼성 넷북 NT-N150을 어떻게 하면 쓸수 있을가 고민을 했다. 처음 샀을때에 윈도우 XP가 깔려 있던 모델이고 성능을 봐서도 거의 폐급 수준이다. 도저히 그냥은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마침 집에 있던 128기가 짜리 SSD가 있어서 하드는 이것으로 교체했다. 어차피 공부용으로 쓰거나 테스트 용으로 사용할거라서 많은 용량은 필요하지 않았다. 그리고 2기가 램을 하나 구매해서 기존 1기가 램과 교체를 했다. 자. 이제 하드웨어는 준비가 끝났고 OS는 뭘 깔아야 할까. 데스크탑은 윈도우10을 쓰고 있고 , 맥북에는 맥OS 가 설치되어있고. 이제 남는것은 리눅스다. 그럼 리눅스는 어떤것을 설치해야 하나. 이번에 한빛 리더스를 통해서 받은 우분투 책도 있겠다 공부도 할겸 .. 2017. 4. 17.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