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Ubuntu 에서 파이썬 설치 위치 확인

DESKTOP-MBRI3VL:~$ python --version
Python 2.7.17
DESKTOP-MBRI3VL:~$ python3 --version
Python 3.6.9

파이썬을 설치하다 보면 2.X 도 있고 3.X 도 있다. 위와 같이 각각의 버전을 확인해보면 설치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Ubuntu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2.7을 path 로 설정한다.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 하면 설치된 파이썬 목록들이 나완다. (정말 이것 저것 많다.)

DESKTOP-MBRI3VL:~$ ls /usr/bin | grep python

python-config
python2
python2-config
python2.7
python2.7-config
python3
python3-config
python3-jsondiff
python3-jsonpatch
python3-jsonpointer
python3-jsonschema
python3.6
python3.6-config
python3.6m
python3.6m-config
python3.7
python3.7m
python3m
python3m-config
x86_64-linux-gnu-python-config
x86_64-linux-gnu-python2.7-config
x86_64-linux-gnu-python3-config
x86_64-linux-gnu-python3.6-config
x86_64-linux-gnu-python3.6m-config

그래서 update-alternatives를 사용해서 파이썬에 대한 버전을 변경해보려고 한다. update-alternatives는 심볼릭 링크를 관리해 주는 리눅스 프로그램이다.

DESKTOP-MBRI3VL:~$ ls -al  /usr/bin | grep python
lrwxrwxrwx  1 root   root           26 Mar 27  2018 dh_pypy -> ../share/dh-python/dh_pypy
-rwxr-xr-x  1 root   root         1056 Apr 16  2018 dh_python2
lrwxrwxrwx  1 root   root           29 Mar 27  2018 dh_python3 -> ../share/dh-python/dh_python3
lrwxrwxrwx  1 root   root           23 Jul  2 00:56 pdb2.7 -> ../lib/python2.7/pdb.py
lrwxrwxrwx  1 root   root           23 Jun 29 20:45 pdb3.6 -> ../lib/python3.6/pdb.py
lrwxrwxrwx  1 root   root           23 Dec 10  2021 pdb3.7 -> ../lib/python3.7/pdb.py
lrwxrwxrwx  1 root   root           31 Oct 25  2018 py3versions -> ../share/python3/py3versions.py
lrwxrwxrwx  1 root   root           26 Mar 27  2018 pybuild -> ../share/dh-python/pybuild
lrwxrwxrwx  1 root   root            9 Apr 16  2018 python -> python2.7
lrwxrwxrwx  1 root   root           16 Apr 16  2018 python-config -> python2.7-config
lrwxrwxrwx  1 root   root            9 Apr 16  2018 python2 -> python2.7
lrwxrwxrwx  1 root   root           16 Apr 16  2018 python2-config -> python2.7-config
-rwxr-xr-x  1 root   root      3624880 Jul  2 00:56 python2.7
lrwxrwxrwx  1 root   root           33 Jul  2 00:56 python2.7-config -> x86_64-linux-gnu-python2.7-config
lrwxrwxrwx  1 root   root            9 Oct 25  2018 python3 -> python3.6

위에서 보면 python의 심볼릭 링크는 python2.7 로 되어있고 python3 에 대한 링크는 python3.6 으로 되어있다. 이것을 변경하려고 한다.

DESKTOP-MBRI3VL:~$ sudo update-alternatives --config python
update-alternatives: error: no alternatives for python
DESKTOP-MBRI3VL:~$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2.7 1
update-alternatives: using /usr/bin/python2.7 to provide /usr/bin/python (python) in auto mode
DESKTOP-MBRI3VL:~$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3.6 2
update-alternatives: using /usr/bin/python3.6 to provide /usr/bin/python (python) in auto mode
DESKTOP-MBRI3VL:~$ sudo update-alternatives --install /usr/bin/python python /usr/bin/python3.7 3
update-alternatives: using /usr/bin/python3.7 to provide /usr/bin/python (python) in auto mode

1번 라인 : python 버전을 변경하는 명령어 인데 현재는 등록되어 있는게 없기 때문에 에러가 난다.

3번 라인 : python 명령어를 2.7로 연결하고 1번으로 할당했다.

5번 라인 : python 명령어를 3.6로 연결하고 2번으로 할당했다.

7번 라인 : python 명령어를 3.7로 연결하고 3번으로 할당했다. (2.7, 3.6, 3.7 이 설치되어있었다.)

DESKTOP-MBRI3VL:~$ update-alternatives --config python
There are 3 choices for the alternative python (providing /usr/bin/python).

  Selection    Path                Priority   Status
------------------------------------------------------------
* 0            /usr/bin/python3.7   3         auto mode
  1            /usr/bin/python2.7   1         manual mode
  2            /usr/bin/python3.6   2         manual mode
  3            /usr/bin/python3.7   3         manual mode

Press <enter> to keep the current choice[*], or type selection number: 3

다 등록을 하고 1번 라인에 썼던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면 위와 같이 나와서 사용할 버전을 선택할 수 있다.

DESKTOP-MBRI3VL:~$ python --version
Python 3.7.5

버전을 확인해 보면 위와 같이 나온다.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문법 : 튜플  (0) 2023.02.27
Python 가상환경  (0) 2022.10.27
파이썬 입력값 받기  (0) 2021.08.25
파이썬 문법 : 배열 초기화  (0) 2021.08.25
Python 으로 파일 내용 변경 하기  (0) 2020.10.20
반응형

로컬 또는 git에서 빌드한 파일을 AWS에 ubuntu 로 파일 옮기는게 귀찮아서 jenkins 로 받아서 가져올수 있도록 만들어봤다..

이곳에 가면 바로 설치할 수 있는 가이드가 있다.


https://jenkins.io/doc/book/installing/#on-macos-and-linux


docker run \

  -u root \

  --rm \

  -d \

  -p 49000:8080 \

  -v jenkins-data:/var/jenkins_home \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

  jenkinsci/blueocean


각각 의 라인 별로 설명도 잘 되어있다. 나는 우선 host port를 8080으로 사용하기 싫어서 49000번으로 설정했다.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ac6489e4bc34        jenkinsci/blueocean   "/sbin/tini -- /usr/…"   3 seconds ago       Up 2 seconds        50000/tcp, 0.0.0.0:49000->8080/tcp   suspicious_benz

e99420ff2ee4        mysql                 "docker-entrypoint.s…"   24 hours ago        Up 24 hours         0.0.0.0:3306->3306/tcp, 33060/tcp    mysql-db



run 할때 이름을 따로 안줘서 이상한 이름이 들어가 있으니 이름을 바꿔보자.


docker rename suspicious_benz jenkins


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ac6489e4bc34        jenkinsci/blueocean   "/sbin/tini -- /usr/…"   10 minutes ago      Up 10 minutes       50000/tcp, 0.0.0.0:49000->8080/tcp   jenkins

e99420ff2ee4        mysql                 "docker-entrypoint.s…"   24 hours ago        Up 24 hours         0.0.0.0:3306->3306/tcp, 33060/tcp    mysql-db


이렇게 정상적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Host Url 의 49000번 포트로 접속을 하면 Jenkins 가 기동된 모습이 나온다. 그런데 아직 정상적인 모습은 아니다.



Administrator password 를 넣으라는데 어디서 찾지?? 다음 명령어를 통해 jenkins container 안으로 들어간다.


 docker exec -it jenkins bash


container 로 접속 한 후에 저 캡쳐한 사진을 보면 경로가 나와있다. 


/var/jenkins_home/secrets/initialAdminPassword


이 파일 안에 password 가 있다. password 를 복사해서 붙여넣고 Continue를 누르면 된다.



난 첫번째꺼 선택하고 진행했다.

이것저것 설치되면서 진행이 된다.


admin 계정으로 생성할 정보를 넣은 후 Save and Continue를 누른다.



접속 URL 을 다시 안내해준다.



이렇게 해서 Jenkins 설치가 마무리 되었다.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Build' 카테고리의 다른 글

[Gradle] gradle build error tool.jar... valid JDK  (0) 2018.10.19
[Gradle]Ubuntu 에서 Gradle 설치하기  (0) 2018.10.19
Mac 에서 gradle 설치  (0) 2016.07.04
Maven 라이브러리 추출  (0) 2016.01.06
Maven clean, install, build??  (0) 2015.05.12
반응형

Docker 로 mysql 를 올려봤다. 


실행시키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docker run --name mysql-db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password> -d mysql


이렇게 하면 mysql container 가 구동된다.


docker contain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e99420ff2ee4        mysql               "docker-entrypoint.s…"   26 minutes ago      Up 6 minutes        0.0.0.0:3306->3306/tcp, 33060/tcp   mysql-db


여기까지는 쉬웠다. 

그런데 내 로컬 컴퓨터에서 저 DB 에 접속을 하려고 하니.. .접속이 안됐다. 참고로 저 위치는 AWS 에 있는 EC2 에 ubuntu를 올려서 설치한 것이다.


먼저 AWS 보안 그룹을 추가했다.


그래도 안된다.


그 다음에 mysql 설정을 찾아봤다.


docker exec -it mysql-db bash


이렇게 하면 container 안으로 들어올 수 있다.  container에 들어와서 mysql -u root -p 를 이용해서 mysql 로 접속한다.


mysql> select host from mysql.user where user='root';

+-----------+

| host      |

+-----------+

| %         |

| localhost |

+-----------+

2 rows in set (0.00 sec)


저렇게 쿼리를 했을 때 %가 포함되어있으면 root 계정에 한해서 모든 접속을 허용한다고 한다.... 그런데 안되네?????


계속 해서 에러가 난다.


Authentication plugin 'caching_sha2_password' cannot be loaded: dlopen(/usr/local/mysql/lib/plugin/caching_sha2_password.so, 2): image not found


이 에러는 mysql 의 password 방식이 변경되서 나는 에러라고 한다. 

그래서 다시 검색!!!! 그러던 중 아래와 같은 글을 발견했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9194719/authentication-plugin-caching-sha2-password-cannot-be-loaded


먼저 /etc/mysql/my.cnf 파일에 아래와 같은 설정을 추가한다. 


[mysqld]

default_authentication_plugin=mysql_native_password


그래도 안된다...


ALTER USER 'username'@'ip_address'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password';


나같은 경우는


ALTER USER 'root'@'%' IDENTIFIED WITH mysql_native_password BY '<password>';


이렇게 실행을 했더니 드디어 접속이 됐다. 

하아... 정말 길고 긴 여정이었다. 

docker로 mysql 은 설치 했는데 접속을 할줄 몰라서 고생하고, 어떻게 접속을 해야 하는지 몰라서 찾아보고...

접속을 했는데 편집기가 설치가 안되어 있어서 vim 도 다시 설치하고...

정말 알아야 할게 너무 많구나.

그런데.. 내가 원래 하려던 것은 이게 아니었는데 DB 를 준비하려고 하다 보니 이런 삽질을 했다...ㅠㅠ


728x90
반응형
반응형

Docker 를 사용하려면 기본적으로 루트 권한이 필요하다. 그래서 그냥 쓰려면 매번 sudo 를 붙여 쓰던지 아니면 root 권한으로 변경해서 사용해야 한다.

root 로 변경해서 사용하기는 좀 그렇고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를 docker 그룹에 등록을 해주면 된다.



sudo usermod -aG docker [현재 사용자]


usermod : 사용자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

-G (--groups) : 새로운 그룹을 말한다.

-a(--append) : 다른 그룹에서 삭제 없이 G 옵션에 따른  그룹에 사용자를 추가한다.


그리고 나서 우분투를 재기동 해주면 sudo 없이 사용할 수 있다.


sudo systemctl reboot


또는


sudo -su - [현재사용자]


로 해주면 재기동 없이 사용할수 있다. 



혹시라도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면..


Got permission denied while trying to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socket at unix:///var/run/docker.sock: Get http://%2Fvar%2Frun%2Fdocker.sock/v1.40/containers/json: dial unix /var/run/docker.sock: connect: permission denied


/var/run/docker.sock 파일의 권한을 변경한다.

sudo chmod 666 /var/run/docker.sock


728x90
반응형
반응형

현재 AWS  EC2 에 올라가 있는 ubuntu 에 kubernetes를 설치해 보았다. 

그런데 설치를 하다보니 프리티어로 받은 t2.micro 가지고는 너무 성능이 느렸다. 거의 접속도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그래서 어차피 설치하고 지울거니깐 t2.large로 올렸다.


설치 전에 Docker 가 먼저 설치 되어 있어야 한다.

(Docker 가 설치 안되어 있다면 https://docs.docker.com/install/linux/docker-ce/ubuntu/#set-up-the-repository 여기 참고하거나 아래 링크 에도 내용은 나와있다.)


https://kubernetes.io/docs/setup/independent/install-kubeadm/


여기에 들어가보면 친절하게 설치 하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내용을 살펴보면 Docker 설치도 포함하고 있어서 Docker 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그대로 따라 하면 된다.


그리고 나는 Ubuntu 에 설치를 하니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실행 했다. 혹시 명령어 실행중 permission 에러가 나면 sudo 붙이고 실행 하면 된다.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y apt-transport-https curl
curl -s https://packages.cloud.google.com/apt/doc/apt-key.gpg | apt-key add -
cat <<EOF >/etc/apt/sources.list.d/kubernetes.list
deb http://apt.kubernetes.io/ kubernetes-xenial main
EOF
apt-get update
apt-get install -y kubelet kubeadm kubectl
apt-mark hold kubelet kubeadm kubectl

이렇게 하면 kubelet, kubeadm, kubectl 이 설치가 된다.


https://kubernetes.io/docs/setup/independent/create-cluster-kubeadm/


그 다음 스텝으로 위 링크로 들어가서 클러스터를 생성 하면 된다.


여기 나와 있는 내용중에 보면 사양이 나와있다. 

  • One or more machines running a deb/rpm-compatible OS, for example Ubuntu or CentOS
  • 2 GB or more of RAM per machine. Any less leaves little room for your apps.
  • 2 CPUs or more on the master
  • Full network connectivity among all machines in the cluster. A public or private network is fine.

최소 사양이다. 이러니 t2.micro 로는 역부족이었다.

kubeadm init <args> 

이렇게 명령어를 날리면 뭔가 내용이 올라오면서 설치가 된다. args는 다양하게 있으나 나는 우선 필요가 없어서 안 넣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내용들이 나온다. (ip랑 port, 토큰 부분은 ㅌㅌㅌ로 처리했다.)


Your Kubernetes master has initialized successfully!


To start using your cluster, you need to run the following as a regular user:


  mkdir -p $HOME/.kube

  sudo cp -i /etc/kubernetes/admin.conf $HOME/.kube/config

  sudo chown $(id -u):$(id -g) $HOME/.kube/config


You should now deploy a pod network to the cluster.

Run "kubectl apply -f [podnetwork].yaml" with one of the options listed at: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addons/


You can now join any number of machines by running the following on each node

as root:


  kubeadm join <ip>:<port> --token ㅌㅌㅌㅌㅌㅌㅌㅌ --discovery-token-ca-cert-hash sha256: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ㅌ


잘 읽어보면 cluster 시작하려면 .kube에 config 파일을 만들라는 내용이 있다. 아주 편리하게 저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된다. 그리고 아래 join에 나오는 내용은 잘 복사해서 저장해두자.


이렇게 하고 "kubectl get pods --all-namespaces" 라고 치면 아래와 비슷하게 나온다. 


NAMESPACE     NAME                                       READY     STATUS    RESTARTS   AGE

kube-system   coredns-78fcdf6894-86s7n                   0/1       Pending   0          7m

kube-system   coredns-78fcdf6894-ngk7x                   0/1       Pending   0          7m

kube-system   etcd-ip-172-31-22-134                      1/1       Running   0          7m

kube-system   kube-apiserver-ip-172-31-22-134            1/1       Running   0          7m

kube-system   kube-controller-manager-ip-172-31-22-134   1/1       Running   0          6m

kube-system   kube-proxy-46x54                           1/1       Running   0          7m

kube-system   kube-scheduler-ip-172-31-22-134            1/1       Running   0          6m


그리고 위에도 써있듯이 cluster에 network를 배포해야 한다. 

위 링크(https://kubernetes.io/docs/setup/independent/create-cluster-kubeadm/#pod-network 또는 https://kubernetes.io/docs/concepts/cluster-administration/addons/) 따라가보면 종류별로 방법이 있다. 설치하고 나서 다음과 같이 확인 해보면 된다.


 kubectl get nodes

NAME               STATUS    ROLES     AGE       VERSION

ip-111-11-11-111   Ready     master    32m       v1.11.2


아직 node 를 추가 못해봤는데 다음에는 node 도 따로 추가해봐야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넷북을 서버로 켜놓을까 하다가 항상 켜놓을 수 없고 매일 사용할때마다 코드 꼽고 하는 작업이 번거로웠다. 그리고 SSH로 접속을 해보았는데 좀 느려서 써먹기는 좀 힘들어 보였다. 그래서 AWS 에 가상 서버를 한번 만들어서 써보자는 생각이 들었다. 어차피 프리티어 기간에는 어느정도 수준 까지는 공짜로 사용할수 있으니 딱 좋았다. 그리고 예전에 AWS 세미나 갔을때 받았던 크래딧도 있어서 이 기회에서 써봐야 겠다고 마음먹었다.




먼저 아마존 Console Home 에서 EC2 를 클릭하고 나오는 화면에서 Create Instance 밑에 있는 Launch Instance 를 클릭한다. 



여기에서는 AWS 에서 만들 가상 서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서버 아래에 보면 "Free Tier Eligible" 이라는 단어가 있는 서버가 프리티어에서 제공되는 서버인것 같다. 참고로 Virtual Appliance 는 하이퍼 바이저에서 실행할수 있는 OS와 기타 소트프웨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이다. 그리고 위에 보이는 AMI(Amazon Machine Image)는 EC2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핸 Virtual Appliance 다.



Instance Type은 가상 서버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도 역시 "Free Tier Eligible" 이라고 써있는것을 선택한다.



따로 설정을 변경할 일이 없기 때문에 모든 설정은 Default 로 되어있는것으로 하고 바로 Next를 누른다.



가상 서버에 저장장치를 추가하는 화면이다. 역시 Default로 하고 Next를 누른다.


   


여기는 태그를 추가하는 화면이다. 키-값의 쌍으로 이루어져 있다. 적당한 값을 넣고 Next를 누른다.





방화벽은 SSH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도록 기본 구성을 하고 "Review and Launch"를 클릭한다.



지금까지 설정사항을 보여준다. Launch를 클릭한다.



가상 서버의 키를 선택하는 화면이다. 나는 미리 키를 만들어둬서 기존에 만들어놨던 키를 선택했다. 만약 만들지 않았다면 EC2 서비스 화면에서 "Key Paris" 메뉴를 선택해서 만들면된다. 가상 서버를 로그인 하려면 키가 필요하며 이 키는 비밀번호를 대신해서 사용한다. "Launch Instances"를 클릭하면 모든게 마무리 된다. 



잘 동작 하는지 확인해보려면 맨 처음 보았던 화면(EC2서비스 화면) 에서 Instances를 클릭하면 현재 서버가 어떤 상태인지 확인 할 수 있다.

지금 글로 적기는 했지만 실제로 해보면 정말 간단하다. 윈도우 설치보다도 더 간단하다. 클릭클릭 몇번만 하면 내가 사용할 수 있는 서버가 짠~ 하고 만들어진다. 아직 모르는게 많지만 앞으로 써보면서 많이 배워야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집에 있던 삼성 넷북 NT-N150을 어떻게 하면 쓸수 있을가 고민을 했다. 

처음 샀을때에 윈도우 XP가 깔려 있던 모델이고 성능을 봐서도 거의 폐급 수준이다. 도저히 그냥은 사용할 수 없는 수준이어서 업그레이드를 시도했다. 


마침 집에 있던 128기가 짜리 SSD가 있어서 하드는 이것으로 교체했다. 어차피 공부용으로 쓰거나 테스트 용으로 사용할거라서 많은 용량은 필요하지 않았다. 그리고 2기가 램을 하나 구매해서 기존 1기가 램과 교체를 했다.


자. 이제 하드웨어는 준비가 끝났고 OS는 뭘 깔아야 할까.


데스크탑은 윈도우10을 쓰고 있고 , 맥북에는 맥OS 가 설치되어있고. 이제 남는것은 리눅스다. 

그럼 리눅스는 어떤것을 설치해야 하나. 이번에 한빛 리더스를 통해서 받은 우분투 책도 있겠다 공부도 할겸 우분투로 정했다. 


그런데 이렇게 보면 정말 짧은 몇줄로 끝난 일이었지만 여기까지 오는 길은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다. 


비하인드 스토리.

처음에는 그냥 넷북에다 ubuntu-16.04.2-desktop-amd64 이미지를 받아서 무작정 설치했다. 물론 설치는 성공적으로 끝났다. 하지만 이건 너무 느려서 마우스를 움직일 수 없는 지경이었다. 그래서 혹시 64비트를 설치해서 그런가? 라는 생각에 ubuntu-16.04.2-desktop-i386을 받아서 설치했다. 하지만 결과는 똑같았다. 그래서 이번에는 14 버전 이미지를 받아서 설치해봤다. 여전히 느리다. 

인터넷을 검색해 보니 centos 가 좀더 가볍다고 하길래 centos 를 받아서 설치를 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설치가 안된다. 

설치가 안됐던 원인은 이미지를 usb 부트디스크로 만드는 과정에서 난 Universal-USB-Installer-1.9.7.2를 사용했는데 이게 잘 작동을 안해서였다. 이미지 만들때 이미 에러가 난 상황이니 설치가 제대로 안될 수 밖에. 이것때문에 설치만 4,5번 했다. 

centos를 설치해서 봤는데 뭔가 만족스럽지가 않다. 여전히 느렸기 때문이다. 

다시 검색을 해보니 루분투라는게 있더라. 그래서 다시 그 이미지 구해다가 설치를 했는데 이건 뭔가 더 맘에 안들었다. 

그래서 내린 결론은 지금의 성능으로는 그냥 아무것도 못하는게 맞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위에서 쓴것과 같이 업그레이드를 했다.

그리고 나서 다시 ubuntu-16.04.2-desktop-i386를 설치했다. 그랬더니 그래도 할만한 정도로 넷북이 돌아갔다. 처음에 64비트를 설치 안한 이유는 그래도 혹시나 성능이 딸릴까봐 32비트를 설치했다. 그런데 우분투에 Docker를 설치하려고 했더니 64비트를 설치하라는 말이 있어서 결국은 다시 ubuntu-16.04.2-desktop-amd64로 바꿔 설치했다. 대체 몇번을 재설치 한건지 모르겠다.

비하인드 스토리 끝.


아래 화면들은 설치하면서 아이폰으로 찍은 과정이다. 



USB를 꼽고 부팅을 하면 위와 같이 화면이 나온다. 

여기에서 한국어 선택하고 계속을 클릭한다. 



무선 네트워크는 아직 연결하지 않는게 좋다고 나와있어서 연결을 하지 않았다.

연결을 하게 되면 업데이트 항목까지 설치 시점에 다운로드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고 한다.



그래픽과 와이파이 정도는 설치를 해줘야 하기때문에 아래를 체크하고 계속을 클릭한다.



항상 OS를 설치할 때에는 무조건 깨끗한게 좋다. 어차피 백업할 자료도 없기 때문에 무조건 싹 지우고 설치한다. 



난 서울에 살고 있기 때문에 서울 선택하고 계속 버튼을 누른다.



계정 이름과 정보를 누르고 암호도 넣어준다. 



그러면 이렇게 파일 복사하고 설치가 완료된다.




봤듯이 설치는 간단하다. 하긴 요즘은 윈도우도 USB 로 부팅디스크 만들어서 설치하면 금방 다 설치가 되니 별다른 차이는 없는것 같다. 

이렇게 해서 나의 우분투 리눅스 설치 삽질이 끝났다. 덕분에 우분투 이미지 만들어서 설치하는것은 눈감고도 할수 있을것 같다. 아주 많은 삽질과 시간과 비용이 들어갔지만 재미는 있었다. 어렵게 설치하고 만들어놨으니 앞으로 공부하면서 잘 써먹어야겠다.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stat 사용 중인 포트 찾기  (0) 2020.07.30
openSSH 서버 활용하기  (0) 2017.04.18
Command Line 명령어  (0) 2016.01.14
sed 명령어  (0) 2016.01.12
[Unix]tar 명령어  (0) 2012.11.12
반응형



  예전에는 그냥 JAVA 기반에 eclipse 설정만 하고 코딩만 했었다. 주변 환경에 대해서는 거의 신경을 안썼고 별로 관심도 없었다. 그런데 점점 프로젝트를 하면서 개발 환경 구성하는 작업들을 볼 기회가 많아졌다. 그리고 내가 직접 구성하거나 환경 설정을 해야 하는 일도 자주 생기게 되었다. 그러다 보니 자연 스럽게 리눅스에 대한 관심이 가게 되었다. 항상 사용할때마다 구글에서 검색해서 명령어 정도만 찾아보고 뭔가 기억해야 겠다는 생각은 해본적이 없었다. 그때그때 찾아 쓰면 되지 라는 생각이 컸다. 


  올해 초에 이 책이 나온 것을 알고 살가 말까 고민 하고 있던 시기에 한빛리더스 14기에 선정이 되었고 첫번재 미션으로 받은 도서 목록에 이 책이 있었다. 그래서 미션 도서 선정 때 아무런 망설임이 없이 이 책을 선택했다.


  이 책에서는 VMware를 사용해서 일반 호스트 PC에 4개의 게스트 OS를 구성해서 실습을 진행하고 있다. 게스트OS로는 리눅스 서버 2대, 리눅스 클라이언트 1대, 윈도우 클라이언트 1대로 구성되어있다. VMware를 사용한 이유는 책에서도 언급이 되어있지만 집에서 사용하는 1대의 PC에서 window가 아닌 다른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부분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함이다. 


  우분투 리눅스에 대한 설명을 하면서 중간중간 일반적인 하드웨어, 네트워크에 대한 내용들도 나와 있어서 전반적인 서버 구성 및 네트워크 구성에 대한 지식도 쌓을 수 있다. 책을 보면서 실습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배경이 되는 기초지식에 대한 이해도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나로써는 책의 내용이 정말 만족스러웠다. 

 

 

  각각의 챕터 앞부분에는 학습목표와 진행 방향이 간단히 요약 정리되어 있어서 이번 챕터에서는 무엇을 공부하고 무엇을 알아야 하는구나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설명을 하면서 캡쳐 화면이 많아서 실습 하는데에 도움이 많이 된다. 실제 PPT를 보는 듯한 느낌의 화면과 상세한 설명, 주석으로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렵지 않았다. 위에 그림처럼 캡쳐 화면에서 화살표 표시는 실습하는데 헷갈리지 않고 차례차례 진행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그리고 꼭 알아야 되는 부분에 중요 표시를 해둬서 나처럼 처음 공부하는 사람들이 어떤 부분이 핵심이고 아닌지를 잘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요한 점은 유투브 동영상 강의가 있다는 점이다. 솔직히 책 두께로 봐서는 들고다니면서 읽기는 불가능 하다. 하지만 그것을 대신해서 유투브 강의가 제공되니 이동시에는 강의를 시청하고 책과 병행 하면서 예습, 복습을 한다면 더 효과적으로 이해를 할수 있다. 


  책 두께에서 오는 포스처럼 약간 바이블 같은 느낌이 나는 학습 책이지만 그만큼 그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 책이 아닌가 생각이 된다. 그만큼 저자 분이 책 내용에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다는 생각이 책 곳곳에 보인다. 한가지 분야에 대한 책을 고를때 상당히 고민을 많이 하는 편인데 이번에 정말 좋은 책을 잘 읽었다는 생각이 들었다. 


상세보기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