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Git (13)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ignore 파일에서 특정 파일 제외가 안될때. gitignore 파일을 작성을 했는데 이상하게도 계속 해당 파일들이 Untracked Files 에 잡혔다. 그런데 분명히 내가 작성한 gitignore 파일에는 다음과 같이 존재하고 있었다..idea/.DS_Store그래서 구글링을 해보니 아래와 같이 해결책을 제시해줬다.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2384473/gitignore-not-ignoring-idea-path 첫번째 시도 git rm -rf .idea/ Git에서 파일을 제거하려면 git rm 명령으로 Tracked 상태의 파일을 삭제한 후에(정확하게는 Staging Area에서 삭제하는 것) 커밋해야 한다. 이 명령은 워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도 삭제하기 때문에 실제로 파일도 지워진다. 그랬더니 다.. 로컬에 있는 프로젝트를 Github로 올리기 명령어 절차를 매번 찾기 귀찮아서 이렇게 기록 놓기로 했다. 1. 먼저 Github에 새로운 Repository 하나를 생성한다. 2. 실제 repository에 올리고 싶은 프로젝트의 로컬 디렉토리로 이동해서 git init 명령어를 실행한다. 그리고 git status 를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온다. 3. git add . 명령어를 실행한다. 4.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를 실행한다. 5. 1번에서 만들어 놓았던 repository 의 주소를 복사한다. 6.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주소 를 실행한다. 7. git push -u origin master 를 실행한다. 그런 다음 아무 에러가 안나면 끝난다. 그런데 이때 reject 가 나오는 경우가 있다. Gi.. Git Add, commit 아침 저녁으로 출퇴근 하면서 생활코딩의 "지옥에서 온 Git" 을 듣고 있는데 재미있는 내용이 있었다.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uHgQVnccGMA8iwZwrGyNXCGy2LAAsTXk Git 을 사용하면 프로젝트 폴더 안에 .git 이라는 폴더가 생긴다. 생긴다라고만 알고 있었고 여기에 뭔가 history 가 저장되겠거니 라는 추측만 했었다. 실제로 열어본적도 없어서 뭐가 들어있는지도 몰랐다. 그런데 강의 내용중에 Git 명령어를 실행될 때에 어떻게 그 History를 저장하고 추적하는지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었다. Git 을 사용할 경우 Add 명령을 이용해서 새로 생성된 파일을 stage area 영역으로 추가할수 있다. 이때에 .git 디렉토리 안에 ..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