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조건 칼럼에 연산이 필요한 경우는 칼럼을 변형시키는 연산 대신에 비교되는 상수 값을변형시키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 컬럼을 변형시킬경우 Index가 존재해도 Full Scan을 하게된다.


SUBSTR(ENAME, 1,1) = '이'  -> ENAME LIKE '이%'

SAL * 12 > 30000000            -> SAL > 30000000 / 12

TO_CHAR(BIRTH,'YYYYMMDD') = '20020909'   -> BIRTH = TO_DATE('20020909','YYYYMMDD')


2. NULL은 인덱스에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인덱스를 스캔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NULL 비교 조건을 상수 조건으로 변경해야한다. 


name is null ->  name > ''    (VARCHAR2)

age is null   ->  age > 0       (NUMBER)


3. NOT operator를 조건으로 사용한 경우는 부정형 조건을 긍정형으로 변경하면 인덱스 스캔을 할 수 있다.

position <> 'MF'     ->  position < 'MF' OR position > 'MF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시퀀스 만들기  (0) 2013.02.12
SQL 문 수행단계  (0) 2013.02.12
[Oracle]계층구조 가져오기  (0) 2013.02.12
[SQL]REGEXP_SUBSTR  (0) 2011.12.20
[Oracle]세로 data를 가로로 변형하기 - LISTAGG  (0) 2011.11.08
반응형
  1. SELECT
  2.    SYS_CONNECT_BY_PATH(ITM_NM,'>>')   HRCH_FULL_NM       -- 전체계층구조(이름)
  3. FROM  TABLE
  4.  
  5. WHERE ITM_CLSF_CD = '12131804'
  6. START WITH ITM_CD IS NULL
  7. CONNECT BY PRIOR ITM_CD  =  PARENT_ITM_CD

이렇게 쿼리를 작성하면


계층구조는 
ITEM >> ITEM >>  ITEM
이런 형식으로 나오게 된다.

START WITH ITM_CD IS NULL

ITM_CD IS NULL : ITM_CD 가 NULL 인것을  ROOT로 인식한다.

CONNECT BY PRIOR ITM_CD  =  PARENT_ITM_CD 

ITM_CD  =  PARENT_ITM_CD  : 하위코드와 상위코드의 관계를 정의한다.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QL 문 수행단계  (0) 2013.02.12
SQL 작성시 주의사항  (0) 2013.02.12
[SQL]REGEXP_SUBSTR  (0) 2011.12.20
[Oracle]세로 data를 가로로 변형하기 - LISTAGG  (0) 2011.11.08
[Oracle]ORDER BY 절에서 NULL 값 위치 지정  (0) 2011.09.26
반응형

맬리드네시아(Malidnesia)의 고대 희극인들은 비극보다 희극을 선호한다. 불행히도 고대 연극의 대부분은 비극이다. 따라서, ACM의 드라마 작가는 몇 편의 비극을 희극으로 바꾸기로 결정한다. 극의 모든 것을 반대로 바꿔야 함에도 불구하고 극의 기본 의미를 보존해야 하기 때문에 이 작업이 매우 어렵다는 것은 분명하다. 숫자를 예로 들어보자. 비극에서 어떤 숫자가 나타나면 희극에서 사용하기 전에 이 숫자를 거꾸로 변환해야 한다. 
거꾸로 쓴 숫자(Reversed number)라는 것은 비트 순서를 반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아라비아 숫자를 반대로 쓰는 것을 의미한다. 첫번째 자리가 마지막이 되고, 마지막이 첫번째가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주인공이 비극에서 1245 딸기(1245 strawberries)이면, 희극에서는 5421 딸기가 된다. 자리채움 0은 생략된다. 즉, 0으로 끝나는 숫자를 반전하게 되면 0은 사라진다.(예를 들어, 1200을 바꾸면 21이 된다). 또한, 반전된 숫자는 0으로 끝나는 경우가 없다. 
ACM은 반전한 숫자를 계산해야 한다. 여러분의 작업은 반전한 두 수를 더한 합계를 구하고, 이 합계를 다시 반전하여 출력하는 것이다. 물론, 어떤 숫자들은 순서를 바꿔쓰면 같은 수가 되기 때문에 결과가 항상 유일한(unique)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12, 120, 1200은 바꿔 쓰면 모두 21이 된다) 따라서, 반전했을 경우 0이 사라지는 경우는 없다고 가정해야 한다. (즉, 반전된 수가 21이면 원래 숫자는 12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입력

입력은 경우의 수 N이다. 입력의 첫번째 라인은 양의 정수 N만 입력한다. 그 다음에 각 케이스를 입력한다. 각 줄에는 두 개의 정수를 공백으로 구분해서 입력한다. 이 숫자들의 순서를 바꿔서 덧셈을 해야 한다. 숫자는 최대 200자까지 될 수 있다.

출력

각 케이스에 대해서 한 줄에 하나의 정수를 출력한다. 이 정수는 반전한 두 수의 합이다. 출력에서 자리 채움 0은 모두 생략한다

입력예제

3
24 1
4358 754
305 794

출력예제

34
1998
1

  1. import java.io.*;
  2.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3. public class AddingReversedNumberMain {
  4.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5.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6.   String[][] temp = null;
  7.   int caseNum = 0;
  8.   StringTokenizer st = null;
  9.   int[] sum = null;
  10.   AddingReversedNumber arn = new AddingReversedNumber();
  11.   System.out.print("inout case : " );
  12.   caseNum = System.in.read() - 48;
  13.   System.in.read();
  14.   System.in.read();
  15.  
  16.   temp = new String[caseNum][2];
  17.   sum = new int[caseNum];
  18.  
  19.   for (int i = 0; i < caseNum; i++){
  20.    System.out.print(i + ". caseSet : ");
  21.    String str = in.readLine();
  22.    
  23.    st = new StringTokenizer(str, " " );
  24.    for (int j = 0; j < 2; j++){
  25.     temp[i][j] = st.nextToken();
  26.     sum[i] = sum[i] + arn.reverseNumber(temp[i][j]);
  27.    }
  28.   }
  29.  
  30.   for (int i = 0; i < sum.length; i++){
  31.    System.out.println(arn.reverseNumber(Integer.toString(sum[i])));
  32.   }
  33.  }
  34.  
  35. }
  36. public class AddingReversedNumber {
  37.  public int reverseNumber(String num){
  38.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39.   String temp = null;
  40.   int len = num.length()-1;
  41.   int number;
  42.  
  43.   for (int i = len; i >= 0 ; i--){
  44.    sb.append(num.charAt(i));
  45.   }
  46.  
  47.   temp = new String(sb);
  48.   number = Integer.parseInt(temp);
  49.   return number;
  50.  }
  51. }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2016.12.07
[Try-catch]대문자 출력  (0) 2013.11.04
[Hacker Cup]Find the Min  (0) 2013.02.01
[Hacker Cup]Balanced Smileys  (0) 2013.01.31
[Programming Challenges] The 3n+1 Problem  (0) 2011.09.01
반응형

1. 오버라이딩 할때에는 접근 제한자의 범위가 같거나 커야한다.

 

2. 오버라이딩 된 하위 클래스의 메서드에 throws 구문이 있으면 상위 클래스의 오버라이딩을 준 메서드도 반드시 해당 예외 클래스에 준하는 throws 구문이 있어야 한다.

 

맨날 오버로딩하고 헷갈리는 오버라이딩

규칙도 있다는것을 처음 알았다

 

참고로 오버 로딩은 매개변수가 다르거나 매개변수의 자료형이 틀린 동일한 메서드를 말한다.

까먹지 말아야지..

728x90
반응형
반응형

음.. 미묘한 내용이라 잘 이해가 되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좀 전문적인 관점에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어려운 내용이지만 오히려 이편이 이해가 더 빠를 수도 있을거 같아서요)

먼저 객체란 것은 무엇이고 변수란 것은 무엇인가?
그냥 다 그냥 값을 저장하는 공간 아닌가?

객체는 힙(heap)이라는 메모리 영역에 생성됩니다.
힙은 프로그램(프로세스 process)이 실행되는 동안
무언가 저장할 공간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메모리 공간입니다.

변수는 스택(stack)이란 메모리 영역에 생성됩니다.
스택은 쓰레드(thread)가 실행되는 동안 사용되는 영역입니다.
(쓰레드란거에 대해서 이해를 하셨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하나의 프로세스에는 여러개의 쓰레드가 있을수 있습니다.
각 쓰레드는 고유의 스택영역을 가지지만
하나의 프로세스 내에서는 힙(heap)은 공유해서 사용합니다.

왜 이렇게 나눠져 있느냐?
스텍 영역은 프로그램 코드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크기가 고정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컴파일 할때 고정됩니다. 이걸 '컴파일 타임'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램 실행중에 크기가 변경될 수있거나 결정되는 것들은 힙에 저장해야 합니다.
(이걸 '런 타임'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또한가지
스택은 쓰레드간에 격리된 공간이기 때문에 여러 쓰레드에서 사용하려면 힙에 저장해야 합니다.

그러면 스택은 무시하고 힙만 쓰면 되지 않느냐?
힙 영역에 어떤 데이터가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프로그램에서 바로 그 값을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합은 구획되지 않은 그냥 커다란 공간일 뿐입니다.

스택의 데이터는 이름(실제로는 상대주소)을 통해서 쉽게 접근이 가능하지만
힙의 데이터는 메모리 주소값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즉 힙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몇번지에 저장했는지 메모리 주소값을 따로 기억하고 있어야합니다.
어떻게 기억하느냐? 스택 변수에 저장해서 기억합니다.

다음으로 넘어가기 전에 잠시 정리하면 대충 다음과 같습니다.

객체 = 힙 = 메모리 주소를 따로 보관해야함
변수 = 스택 = 그냥 이름으로 쓰면됨


여기까지는 대충 그렇구나 하시면 됩니다.
지금부터 코드를 작성하면 그게 실제로 어떻게 동작하는지
차근차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함수 안에서

void someMethod() {
int a;
...
}

라고 선언했다면 이것은 스택 영역에 int 크기(4바이트져)만큼의 공간이 할당되고 a라고 이름 붙여집니다.

만약 어떤 순간에 someMethod()가 2개가 동시에 실행되고 있었다면(2개의 쓰레드에서)
스택영역도 2개가 되고 a 도 2개가 존재하는 겁니다.

어떤 함수 안에서

void someMethod() {
String s;
...
}

라고 선언했다면 스택영역에 참조(reference)형 변수가 생성되고 s라고 이름이 붙여집니다.
참조형 변수란것이 바로 힙영역에 대한 메모리 주소입니다.

자바에서 참조(reference)란 힙 영역의 객체에 대한 메모리 주소를 유식하게 말하는 것입니다.

다시 코드에서 보면 메모리 주소를 저장할 공간은 만들었지만
s에 실제로 주소를 지정하지는 않았습니다.
이 상태를 null 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s == null 입니다.

null 이란 참조형 변수가 있는데 거기에 메모리 주소가 저장되어있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0번지라는 값을 의미합니다.)

void someMethod() {
String s = new String("1234");
...
}

라고 했다면 힙에 "1234"가 저장될 메모리 공간이 생성되고, 스텍에는 s라는 참조형 변수가 생깁니다.
그리고 "1234"의 주소값이 s에 저장됩니다.

s에는 주소 값이 저장되어있으므로 s != null 입니다.

void someMethod() {
String s = new String("1234");
...
s = null;
...
}

만약 s에 null이란 값을 대입하게 되면 s에는 0번지란 값이 저장되고
조금전에 생성된 "1234" 객체에 대한 메모리 주소값은 어딘지 알 수 없게 되어버립니다.
그래서 다시 "1234"를 사용할 수 없게 되죠.

이것을 객체 참조를 끊는다라고 말합니다.
힙에 할당되어있지만 그 주소를 담고 있는 참조 변수가 하나도 없는 경우
즉 모든 참조가 끊긴 경우 자동으로 메모리가 해제되고
다시 사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바뀝니다. (이것을 가비지 컬렉팅이라고 합니다.)


void someMethod() {
String s1 = new String("1234");
String s2 = new String("1234");
...
}

라고 했다면 힙에 "1234"가 생기고 그 주소값이 스택의 s1 에 저장됩니다.
그리고 또다시 힙에 "1234"가 생성되고 그 주소값이 스택의 s2 에 저장됩니다.

힙에는 "1234"가 2번 생겼습니다.
따라서 s1과 s2는 서로 다른 메모리 주소를 가지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s1 != s2 인것이죠.
하지만 s1.equals(s2) 는 true 입니다.
그 이유는 String의 equals()는 힙에 들어있는 실제 문자열 데이터를 비교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말씀드리자면 equals()는 힙에 있는 객체의 값을 비교하기 위한 메쏘드입니다만
모든 객체의 디폴트인 Object.equals() 는 == 연산자와 동일하게 동작합니다.
객체를 만들 때 자신의 객체에 맞게 equals() 메쏘드를
재정의 해야 String.equals()처럼 올바르게 값을 비교할 수있게 됩니다.

길게 설명했는데 잘 모르겠으면 그냥 무시하십쇼^^
언젠가는 이해가 될겁니다.
 
출처 : 네이버 지식IN 답변(dagui0님)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ExecutorService  (0) 2013.03.22
오버라이딩 규칙  (0) 2013.02.12
Deep Copy vs Shallow Copy  (0) 2013.02.12
객체에는 메서드가 포함되지 않는다?  (0) 2013.02.12
파일 입출력.  (0) 2013.01.29
반응형

예전에 시험에서 나왔었는데...

그때는 이게 뭔말인가 했다. -_-;;
어디서 듣도 보지도 못한것이 굴러나왔나 했는데...

[직역]
Deep copy - 깊은 복사
Shallow copy - 얕은 복사

Deep copy
원본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새로운 객체나 배열을 생성하는것
원번이 바뀌어도 복사본은 독립적이기 때무에 영향이 없다.

Shallow copy
배열이나 객체를 복사할때 단순히 참조만 복사하는것.
원본이 변경됨면 복사본도 변경된다.


까먹지 말자꾸나!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버라이딩 규칙  (0) 2013.02.12
Java에서 Null 값을 비교할 때  (0) 2013.02.12
객체에는 메서드가 포함되지 않는다?  (0) 2013.02.12
파일 입출력.  (0) 2013.01.29
[Spring]Spring Annotation  (0) 2012.08.01
반응형

객채가 생성되면 인스턴스 변수는 포함이 되지만 메서드는 포함되지 않는다.

왜냐고??
인스턴스 변수는 인스턴스마다 다른 값을 가질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메모리 공간이 필요하다.
그런데 메서드는 변하는게 아니다.
그래서 메모리를 낭비해 가면서 인스턴스를 포함시킬 이유가 없다...

라고 오늘 책에서 봤다...
처음 알았네 -_-;;;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에서 Null 값을 비교할 때  (0) 2013.02.12
Deep Copy vs Shallow Copy  (0) 2013.02.12
파일 입출력.  (0) 2013.01.29
[Spring]Spring Annotation  (0) 2012.08.01
[Spring]SpEL(Spring Expression Language)  (0) 2012.07.31
반응형

After sending smileys, John decided to play with arrays. Did you know that hackers enjoy playing with arrays? John has a zero-based index array, m, which contains n non-negative integers. However, only the first k values of the array are known to him, and he wants to figure out the rest.

John knows the following: for each index i, where k <= i < n, m[i] is the minimum non-negative integer which is *not* contained in the previous *k* values of m.

For example, if k = 3, n = 4 and the known values of m are [2, 3, 0], he can figure out that m[3] = 1.

John is very busy making the world more open and connected, as such, he doesn't have time to figure out the rest of the array. It is your task to help him.

Given the first k values of m, calculate the nth value of this array. (i.e. m[n - 1]).

Because the values of n and k can be very large, we use a pseudo-random number generator to calculate the first k values of m. Given non-negative integers abc and positive integer r, the known values of m can be calculated as follows:

  • m[0] = a
  • m[i] = (b * m[i - 1] + c) % r, 0 < i < k

Input

The first line contains an integer T (T <= 20), the number of test cases.
This is followed by T test cases, consisting of 2 lines each.
The first line of each test case contains 2 space separated integers, nk (1 <= k <= 105k < n <= 109).
The second line of each test case contains 4 space separated integers abcr (0 <= abc <= 109, 1 <= r <= 109).

Output

For each test case, output a single line containing the case number and the nth element of m.


Example input

5
97 39
34 37 656 97
186 75
68 16 539 186
137 49
48 17 461 137
98 59
6 30 524 98
46 18
7 11 9 46

Example output
Case #1: 8
Case #2: 38
Case #3: 41
Case #4: 40
Case #5: 12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2016.12.07
[Try-catch]대문자 출력  (0) 2013.11.04
[Programing Challenges]반전한 수 더하기  (0) 2013.02.12
[Hacker Cup]Balanced Smileys  (0) 2013.01.31
[Programming Challenges] The 3n+1 Problem  (0) 2011.09.01
반응형
흠... 왜 이렇게 생각을 못했을까

Balanced Smileys

Your friend John uses a lot of emoticons when you talk to him on Messenger. In addition to being a person who likes to express himself through emoticons, he hates unbalanced parenthesis so much that it makes him go :(

Sometimes he puts emoticons within parentheses, and you find it hard to tell if a parenthesis really is a parenthesis or part of an emoticon.

A message has balanced parentheses if it consists of one of the following:

  • - An empty string ""
  • -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s: 'a' to 'z', ' ' (a space) or ':' (a colon)
  • - An open parenthesis '(', followed by a message with balanced parentheses, followed by a close parenthesis ')'.
  • - A message with balanced parentheses followed by another message with balanced parentheses.
  • - A smiley face ":)" or a frowny face ":("

Write a program that determines if there is a way to interpret his message while leaving the parentheses balanced.

Input

The first line of the input contains a number (1 ≤ T ≤ 50), the number of test cases. 
The following T lines each contain a message of length s that you got from John.

Output

For each of the test cases numbered in order from 1 to T, output "Case #i: " followed by a string stating whether or not it is possible that the message had balanced parentheses. If it is, the string should be "YES", else it should be "NO" (all quotes for clarity only)

Constraints

  • 1 ≤ length of s ≤ 100

Example input
5
:((
i am sick today (:()
(:)
hacker cup: started :):)
)(

Example output
Case #1: NO
Case #2: YES
Case #3: YES
Case #4: YES
Case #5: NO

  1. public class BalancedSmileys {
  2.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3.         try {
  4.             BufferedReader in = new BufferedReader(new FileReader("src/code/smile.txt"));
  5.             String lineData;
  6.             int lineNumber = 0;
  7.                        
  8.             while ((lineData = in.readLine()) != null) {
  9.                
  10.                 if (lineNumber >= 1){
  11.                     char[] charData = lineData.toCharArray();
  12.                     int parenthesisOpenCount = 0;
  13.                     int parenthesisCloseCount = 0;             
  14.                        
  15.                     String result = "YES";
  16.                    
  17.                     for(int i=0; i<charData.length; i++){
  18.                         char data = charData[i];
  19.                         char preData = ' ';
  20.                        
  21.                         if (i > 0){
  22.                             preData = charData[i-1];
  23.                         }
  24.                                                
  25.                         if (data == '('){                  
  26.                             parenthesisOpenCount++;
  27.                            
  28.                             if (i > 0 && preData != ':'){
  29.                                 parenthesisCloseCount++;
  30.                             }
  31.                         }else if (data == ')'){
  32.                             parenthesisCloseCount = Math.max(0, parenthesisCloseCount-1);
  33.                            
  34.                             if (i > 0 && preData != ':'){
  35.                                 parenthesisOpenCount--;
  36.                                
  37.                                 if (parenthesisOpenCount < 0){
  38.                                     break;
  39.                                 }
  40.                             }
  41.                         }
  42.                     }
  43.                    
  44.                     if (parenthesisOpenCount >= 0 && parenthesisCloseCount == 0 ){
  45.                         result = "YES";
  46.                     }else{
  47.                         result = "NO";
  48.                     }
  49.                    
  50.                    
  51.                     System.out.println("Case #" + lineNumber + ": " + result);
  52.                 }
  53.                 lineNumber++;
  54.             }
  55.             in.close();
  56.         } catch (IOException e) {
  57.             System.err.println(e);
  58.             System.exit(1);
  59.         }
  60.     }
  61. }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 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2016.12.07
[Try-catch]대문자 출력  (0) 2013.11.04
[Programing Challenges]반전한 수 더하기  (0) 2013.02.12
[Hacker Cup]Find the Min  (0) 2013.02.01
[Programming Challenges] The 3n+1 Problem  (0) 2011.09.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