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302) 썸네일형 리스트형 파일 찾기, 파일 날짜별 삭제 특정 기간이 지난 파일을 삭제할때 find -mtime 옵션 사용 find -mtime n(일수) -> n 일전 * 24시간 (시간 기준이다) find -mtime -3 : 3일전부터 현재까지 find -mtime 3 : 4일전에서 3일전까지 find -mtim +3 : 3일 이전 ex) find -name "*.log" -mtime +3 -delete 이렇게 하면 3일 이전 생성된 파일들이 삭제됨 find -name "*.log" -mtime -1 -exec ls -lrt {} \; ->> 파일 목록들 확인할때. [리눅스 명령어] IP 관련 명령어 ip link - ip link set eth0 up - eth0 인터페이스활성화 ip addr - IP 정보 출력 ip addr add - ip addr add ip/24 dev eth0 - eth0 인턴페이스에 IP 추가 route - 라우팅 정보 출력 ip route add - ip route add default via XXX.XXX.X.X - 게이트웨이 설정 - ip route add XX.XX.XX.X/24 via XXX.XXX.X.X dev eth0 - 정적 라우팅 정보 설정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Controller Test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Service Test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Repository Test Repository, Service 에 대한 테스트를 살펴봤으니 이제 Controller 테스트를 확인해보자. Controller Test 에는 @WebMvcTest 를 사용했다. Controller 는 확인해야 할 부분이 다음과 같다. 1. request 를 요청한 url 과 파라메터가 정확한지 여부. 2. 정상 처리 되었을데 요구한 응답을 보내주는지. 3. 비정상일때에 response 에 상태 코드가 정확히 전..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Service Test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Repository Test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Service 테스트에 대해서 적어보려 한다. 아래는 내가 작성한 UserService 에 대한 테스트케이스 이다. @RunWith(MockitoJUnitRunner.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Mock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Users user1; @Before public void setup(){ userService = new UserService(userReposit..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Repository Test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을 할때 내가 어렵게 생각했던것은 2가지 이다. 1. Mock 으로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할 것인가? 아니면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작성할 것인다. 2. 테스트용 DB를 따로 둬야 할까? 이 2가지가 항상 풀리지 않는 난제 같았다. 그런데 갑자기 뭔가 기준을 정해서 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야기 이긴 하지만.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려는 클래스들의 역할에 생각해 보고 그에 맞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면 되는 것이다.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보면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는 클래스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꼽을 수 있다. 1. Repository 2. Service 3. Controller 4. RestApiController 그럼 우선 이번 글에서는 Rep.. [K8S] static pod 에 대해서 몇가지. static pod 에 대해서 알아보다가 몇가지 기억할 만한 것들을 적어본다. - master node 의 /etc/kubernetes/manifests 하위에는 yaml 파일들이 있는데 이 yaml 파일들은 마스터 노드가 실행시에 자동으로 생성되는 static pod 들이다. 보통 etcd, api-server등이 있다. - node에 생성된 static pod 를 지우기 위해서는 해당 노드에 가서 지워야 한다. 지우기 위해서는 노드 안에 있는 kubelet의 config 파일(/var/lib/kubelet/config.yaml) 에 있는 staticPodPath 값을 찾아서 path 위치에 있는 yaml 파일을 지워야 한다. kubectl delete pod 로 지우면 다시 생성된다. - 조회는 가능.. mac에서 oh-my-zsh 사용시 kubernets 자동 완성 기능 설정 처음에 터미널에서 kubernetes 자동완성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설정을 했다. v1-19.docs.kubernetes.io/ko/docs/reference/kubectl/cheatsheet/ kubectl 치트 시트 이 페이지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kubectl 커맨드와 플래그에 대한 목록을 포함한다. Kubectl 자동 완성 BASH source ~/.zshrc # 자동 완성을 zsh 셸에 영구적으로 추가한다. cheatsheet 에 나온대로 했는데 현제 셸에서는 잘 설정이 되었는데 껐다 다시켜면 안됐다. 그래서 찾아보니 난 oh-my-zsh 를 사용하고 있어서 다른 설정이 추가적으로 필요했다. 다른 설정이 필요했다기 보다는 저 위에 설정은 필요없고 플러그인 설정으로 해결을 할 수 있었.. Mac 에서 Discord 사용시 전체 화면 공유 안될때 설정 Discord 를 사용하면서 전체 화면을 공유 했는데 아래와 같이 화면만 나오고 전혀 공유를 할수 없었다. 여기저기 찾아 보다가 해결을 했는데 결과적으로 Mac 설정이 잘못 되어있었다. 시스템 환경설정 > 보안 및 개인 정보 보호 > 화면기록 을 보면 아래와 같이 체크가 안되어있다. 체크를 해주면 자동으로 Discord 가 restart 된다. 재시동 된 후에 화면 공유를 하고 나면 정상적으로 전체 화면이 공유된다. [K8S] apiserver 에 SAN(Subject Alternative Name) 추가 Lens 라는 툴을 사용해 보려고 host pc 에서 VM 에 있는 K8S 를 연결시켜보려고 시도를 해봤다. 2021/01/05 10:08:52 http: proxy error: x509: certificate is valid for 10.96.0.1, 10.0.1.7, not [ip] 그런데 위와 같은 에러 메세지가 나면서 연결이 되지 않았다. 위에 [ip] 는 host pc 의 ip 이다. Google에서 찾아보니 인증서에 나의 로컬 ip 가 들어가 있지 않아서 라는 이야기가 나왔다. 그럼 현재 k8s 에 있는 apiserver 인증서 내용을 살펴보자. openssl x509 -in /etc/kubernetes/pki/apiserver.crt -text 위와 같이 입력하면 apiserver.crt 파.. 쿠버네티스 입문 12장 파드스케줄링 파드 스케줄링 파드를 만들때 어떤 노드에서 실행할지 다양한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다. NodeSelector(노드 셀렉터) 설정spec: containers: nodeSelector: key: value Node Affinity 노드 레이블을 기반으로 파드를 스케줄링 한다. 노드 셀렉터를 함께 설정할 경우 둘다 만족하는 노드에 스케줄링된다. requi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 스케줄링 하는동안 꼭 필요한 조건 preferredDuringSchedulingIgnoredDuringExecution : 만족하면 좋은 조건. (필수아님) 스케줄링 하는 동안 조건이 변경되더라도 무시한다. 설정spec: affinity: nodeAffinity: requiredD.. 이전 1 ··· 5 6 7 8 9 10 11 ··· 31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