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Development

(302)
쿠버네티스 입문 11장 secret Secret 비밀번호 같은 민감한 정보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 생성 명령어 kubectl create generic secret명 --from-file~ 실제 값은 base64 로 인코딩한 값이 들어간다. 템플릿 apiVersion: v1 kind: Secret metadata: name: user-pass-yaml type: Opaque data: username: 값 password: 값 type Opaque : 기본값 kubernetes.io/service-account-token : 쿠버네티스 인증토큰 저장 kubernetes.io/dockerconfigjson: 도커 저장소 인증정보 저장 kubernetes.io/tls: TLS 인증서 저장 data 값은 base64 로 인코딩 한 값을 넣어야 ..
쿠버네티스 입문 9장 레이블&애너테이션 Label, Annotation Label(레이블) 키-값 쌍으로 구성 파드 관리할때 구분하는 역할을 한다. 규칙 63글자 넘으면 안됨 시작과 끝문자는 알파벳 대소문자 및 숫자 중간에는 대시(-), 밑줄(_), 점(.), 숫자등이 올수 있음 레이블 셀렉터 등호기반(=, ==) 집합기반(in, notin..) 레이블을 모두 만족시켜야 하는경우 (And) 는 쉼표로 연결 실제 서비스에서 정상적으로 셀렉트를 했는지 보려면 서비스의 endpoint를 확인해보면 된다. pod 선택시 -l 옵션 사용 kubectl get pod -l 레이블~ Annotation 쿠버네티스 시스템이 필요한 정보를 담는다. 키는 쿠버네티스 시스템이 인식할 수 있는 값을 사용한다. 출처 : 쿠버네티스 입문 - 90가지 예제로 배우는 컨..
쿠버네티스 입문 10장 컨피그맵 ConfigMap 컨테이너에 필요한 환경 설정을 컨테이너와 분리해서 제공하는 기능 사용 설정apiVersion: v1 kind: ConfigMap metadata: name: config-dev data: DB_URL: localhost DB_USER: myuser DB_PASS: mypass DEBUG_INFO: debug 컨피그맵 일부만 사용spec: containers: - name: image: env: - name: DEBUG_LEVEL valueFrom: configMapKeyRef: name: config-dev key : DEBUG_INFO .env[].valueFrom 사용 .env[].valueFrom.configMapKeyRef 를 통해 이미 정의된 configmap 사용 컨피그맵 전..
쿠버네티스 입문 - 8장 인그레스 Ingress 개념 클러스터 외부에서 안으로 접근하는 요청들을 어떻게 처리할지 정의해둔 규칙 인그레스는 규칙들의 모음이며 실제로는 인그레스 컨트롤러가 동작시킨다. 설정 apiVersion: networking.k8s.io/v1 kind: Ingress metadata: name: test annotations: nginx.ingress.kubernetes.io/rewrite-target: / spec: rules: - host: foo.bar.com http: paths: - path: /foos1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s1 port: number: 80 - path: /bars2 pathType: Prefix backend: service: name:..
쿠버네티스 입문 - 7장 서비스 Service 개념 동적으로 변하는 Pod 들을 고정적으로 접근할 때 사용한다. 서비스는 주로 L4영역에서 통신할 때 사용한다. 서비스 타입 ClusterIP default, 클러스터 내부에서만 사용가능 NodePort 모 모든 노드에 지정된 포트를 할당함. 외부에서 접근 가능 LoadBalancer EXTERNAL-IP 생성 외부에서 Pod 접근 가능 할수 있게 해줌 ExternalName 서비스를 .spec.externalName 필드에 설정한 값과 연결한다. 클러스터 안에서 외부에 접근할 때 주로 사용한다. 서비스 사용 설정 apiVersion: v1 kind: Service metadata: name: my-service spec: type: ClusterIP selector: app: MyApp..
쿠버네티스 입문 - 6장 컨트롤러 Controller 개념 Pod 를 관리하는 역학을 한다. Replicatoin Controller(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 ReplicaSet(레플리카 셋) Replication Contller 초기부터 있었던 기본적인 컨트롤러 명시한 Pod 개수만큼 유지하도록 해준다. 현재는 ReplcaSet 을 쓴다. ReplicaSet 레플리케이션 컨트롤러의 발전형. 레플리케이션 컬트롤러와 차이점은 집합기반 셀렉터를 지원 한다. (in, notin, exists) rolling-update 옵션 사용불가 설정 apiVersion: v1 kind: ReplicaSet metadata: name: nginx-replicaset spec: template: metadata: name: nginx-replicaset l..
쿠버네티스 입문 - 5장 파드 Pod 개념 쿠버네티스에서 실제로 컨테이너를 묶어서 관리하는 단위 설정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simple-pod (Pod 이름) labels: app: simple-pod (오브젝트를 식별하는 레이블) spec: containers: - name: simple-pod (컨테이너 이름) image: ~~~ (컨네이너에서 사용할 이미지) ports: - containerPort: 8080 Pod 생명주기 Pending -> Running Successed Failed Unknown 컨테이너 진단 ivenessProbe 컨테이너가 실행됐는지 확인 실패시 컨테이너를 종료시키고 재시작 정책에 따라서 재시작 readinessProbe 컨테이너 실행된 후 실제로 서..
IntelliJ Git 스테이징 지원 활성화 하기 IntelliJ 2020.3 의 기능 중에 Git 스테이징 지원 이라는 항목이 있다. 그래서 이걸 써보려고 위에 나와있는 것 처럼 환경 설정을 확인해봤다. 그런데 Git 설정을 들어가 보니 위의 그림처럼 Enable staging area 가 비활성화 되어있다. (처음에는 체크가 안된 상태로 비활성화 되어있었다. ) 이것때문에 한참을 찾았는데 다음과 같이 해결을 하면 된다. Version Control > Commit 항목에 보면 Use non-modal commit interface 라는 항목이 있다. 이걸 체크해주고 apply 해주면 위에 Enable staging area 가 활성화 된다. 활성화를 하고 나면 위와 같이 staged, unstaged 항목을 볼 수 있는 창을 사용할수 있게 된다.
다른 브랜치에서 pull 하면 어떻게 될까??? Git 을 사용하면서 pull 을 받을때 다른 브랜치를 pull 받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서 나는 현재 A 브랜치에서 작업을 하고 있다. 그런데 B 브랜치의 내용을 A 브랜치로 pull 을 받아야 한다. ( 왜 이렇게 사용하냐고 묻는 다면.. 어쩌다 보니 이렇게 사용하게 됐다..) 그래서 한가지 궁금한게 생겼다. 다른 브랜치를 pull 받는것과 merge 하는것과 차이가 있을까??? 그럼 한번 실험을 해보자. - master 브랜치, dev01 브랜치 생성 먼저 위 그림을 보자. 위 상황은 다음과 같다. 1. master 브랜치에서 test1.md 파일 생성후 커밋 2. dev01 브랜치 생성 3. dev01 브랜치에서 test2.md 파일 생성 - dev02 브랜치 추가 , test3.md 파일 추..
Mac 업데이트 후 xcrun 에러 사용중인 맥북을 Big Sur 로 업데이트 했더니 git 사용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 ➜ ~ git xcrun: error: invalid active developer path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 missing xcrun at: /Library/Developer/CommandLineTools/usr/bin/xcrun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다. xcode-select --install 이렇게 설치를 해주면 해결이 된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