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빛미디어 (81) 썸네일형 리스트형 Infrastructure as Code - 코드로 인프라 관리하기 리뷰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까. 어쩌면 우리는 이미 어느 순간 자기도 모르게 코드를 인프라로 관리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가장 간단한 예로 설정파일을 Git에 push 하고 운영, 검증, 개발로 나누어서 관리하는 것도 코드로 인프라를 관리하는 것이다. 단지 그 범위가 좁을 뿐이다. 코드리 인프라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 1. 모든 것을 코드로 정의한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 보다 코드로 관리를 할수 있는 것들이 정말 많다. 간단한 설정파일 부터 시작해서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들 까지 말하기 시작하면 한도 끝도 없다. 그리고 최근에는 클라우드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정의해야 할 요소들이 더 많아졌다. 퍼블릭 클라우드에서 화면에서 직접 마우스를 클릭하면서 리소스.. 오늘부터 IT 를 시작합니다 리뷰 책 표지에 보면 "비유와 이야기로 풀어낸 비전공자를 위한 필수 IT 교양서" 라고 써있다. 책 내용의 대부분이 IT 관련 용어들, 상황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이야기들로 구성되어있다. IT 교양서인만큼 읽는데 어려움은 없었다. 물론 전공자의 입장에서 책을 읽었기 때문에 더 쉽게 느껴졌을 수는 있다. 책에 나오는 내용들에 대해서 이미 알고 있거나 최소한 한번정도는 들어봤던 용어들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전공자라고 해서 이해하지 못할 내용은 없어보였다. IT 용어들 중에서도 일상생활에서 충분히 들어봤을 정도의 용어들이 나오기 때문이다. 수학적 지식이나 프로그래밍 관련 전문 지식들이 많이 섞여서 내용이 구성되었다면 읽다가 어려움을 느꼈을 분들이 많을지 모르겠지만 이책은 그런 부분은 거의 없어서 일반 교양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패턴 리뷰 클라우드를 이용한 개발 및 운영이 지금은 당연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그만큼 클라우드는 어느 순간 개발에 대한 영역에서 중요한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 프로젝트를 시작하게 되면 코드관리, 배포, 운영에 대한 모든 인프라 환경이 클라우드로 변경되어가고 있다. 하지만 우리의 어플리케이션은 그런 환경에 맞게 개발되고 있는가라고 질물을 한다면 대답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패턴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각각의 요건과 환경에 맞게 이미 시도해본 사람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형식들이 바로 패턴이다. 이 책에서는 우리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배포하기 위해서 적합한 패턴들이 어떤것들이 있는지 알려준다. 이 책을 통해 알게 되었는데 패턴이 생각보다 정말 .. 기업의 성공을 이끄는 Developer Relations 리뷰 책을 읽어보기 전까지는 단어의 의미조차 알지 못했던 Developer Relations 에 대한 책을 읽게 되었다. 단어 자체가 길다보니 보통은 축약해서 DevRel(데브렐) 이라고 표현을 하는것 같다. 처음에는 데브렐의 역할이 기업의 마케팅이나 영업과 비슷하다고 생각을 했으나 알고 보니 전혀 다른 역할이었다. 내가 책을 읽으면서 간략하게 파악한 그들의 역할은 다음과 같았다. 개발자들을 위한 문화를 만드는데 고민한다. 커뮤니티를 만들고 활성화 될수 있도록 돕는다. 하지만 이런 행동들이 기업의 홍보를 위한것이 아니어야 한다. 마지막 문장이 정말 의미심장하다. 기업의 홍보를 위한것이 아니어야 한다. 정말 쉽지 않은 일이고 단시간이 이루어 질수 없는 일이다. 분명 꾸준한 노력과 인내, 그리고 속한 조직의 지지.. [나는 리뷰어다]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개발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구글에서 일하는 생각을 해봤을것이다. 나또한 그랬으며 항상 동경의 대상처럼 여겨졌다. 그들이 하는 일들은 항상 앞서 나가고 무엇인가 혁신적이고 세상을 바꿀것 같은. 그런 기본적은 생각들이 밑바탕에 깔려있었다. 이번에 읽게된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는 그런 구글러들이 어떻게 일하는지, 무엇을 생각하는지에 대해 배워볼수 있는 책이다. - 이 책은 개발자들만을 위한 책이 아니다. 이 책은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대한 내용을 많이 다룬다. 프로그래밍과 구분되게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해 설계부터 시작하는 모든 라이프 사이클을 포함한다. 그게 개발관련된 일이 될수도 있고 그안의 구성원들인 사람이 될수도 있다. 따라서 이책의 제목에 있는.. [나는 리뷰어다] 도메인 주도 개발 시작하기 도메인 주도 개발은 회사에서 항상 적용해보고 싶었는데 내가 가진 지식이 많지도 않고 실제 경험도 없다보니 쉽게 해볼수는 없던 영역이었다. 책도 읽어볼 엄두가 나질 않아서 책도 많이 안읽은 주제중에 하나 였다. 그런데 이번에 새롭게 나온 이책을 읽어볼 기회가 생겨서 도메인 주도 개발을 다시 접해볼 수 있었다. 저자가 책에 써넣은대로 이 책은 초중급을 대상으로 쓰여진 책이다. 말 그대로 도메인 주도 개발에 대해서 알고 싶고 각각의 의미가 무엇인지 개념을 알고 싶고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고 싶은 분들을 위한 책이다. 그리고 책에 나오는 예제 코드들은 java, spring boot, jpa 등을 기반으로 설명을 해주고 있다. 따라서 책을 좀더 잘 이해하고 싶다면 앞에 말한 것들에 대한 사용경험이 있는것이 좋다... [나는 리뷰어다] 고객을 끌어오는 구글 애널리틱스4 이번에 구글 애널리틱스 에 대한 책을 읽게 되었다. 현재 사용중인 블로그도 구글 애널리틱스가 적용되어 있긴 하지만 최초에 적용할 때에만 블로그들 찾아본 후에 애널리틱스에서 보여주는 정보를 가지고 무언가를 해본적은 없었다. 우선 하지 않았던 가장 큰 이유로 애널리틱스에서 보여주는 많은 정보들이 쉽게 이해가 되지 않는 점이었다. 위 데이터는 현재 내 블로그에 대한 애널리틱스 화면에 나오는 데이터이다. 많은 정보들이 있지만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수가 없었다. 그런데 이번에 읽은 책을 통해서 많은 부분들을 이해할수 있게되었다. 책에서는 애널리틱스의 각각의 용어들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며 각각의 모든 기능들을 스텝바이 스텝으로 설명을 해준다. 각 스텝에서는 무엇을 클릭을 해야 하는지, 그리고 이 화면이 무엇을.. [나는 리뷰어다] GraphQL in Action 전부터 GraphQL 이 어떤 것인지 궁금했었는데 이번에 읽은 책을 통해서 조금이나마 이해를 할 수 있었다. 이 책은 3개의 Part 와 10개의 Chapter 로 구성되어있다. Chapter 1 그래프QL 경험해보기 에서는 그래프QL 소개와 사용 방법에 대해서 소개를 해주고 있다. 그리고 그래프QL 로 기본적인 쿼리들을 실행해 볼수 있는 예제들을 담고 있다. 깃허브API 예제를 통해서 실행해 볼 수 있어서 깃허브 계정을 갖고 있다면 쉽게 실습을 따라가볼수 있다. 그리고 Chaper2 그래프QL API 작성법 을 통해 본격적으로 그래프QL 을 설계하고 스키마 리졸버를 구현해 본다. 그리고 데이터베이스와 연결하여 모델을 설계해보는 실습을 한다. 아마도 이 Chapter 가 이 책의 가장 핵심이지 않을까 생.. [나는 리뷰어다]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많은 시간 개발을 하면서 시스템 아키텍처에 대해서 생각을 안해왔던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그런 지식들은 공부를 해서 생기는게 아니라 실제 경험으로 해봐야만 알수 있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다. 그런데 요즘드는 생각은 이론으로 알고 실제 경험을 하면 더 많은것을 할수 있고 더 잘 할수 있을거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래서 최근 책을 고를때에 아키텍트 관련 서적을 많이 골랐던것 같다. 개발을 하다가 나이 먹으면 아키텍트를 해야 한다 라는 그런 의견(?) 들이 많긴 한데 개발자에서 아키텍트로 간다는 것은 생각처럼 당연하지도 않고 쉽지도 않다. 지금도 물론 개발도 하고 아키텍트 역할도 하고 있지만 솔직히 그게 아키텍트로서의 역할이 맞는지, 아니면 개발자인지 구분이 안간다. 그리고 매번 같은 방법, 같은 형식으로만 .. [나는 리뷰어다] Fundamentals of Software Architecture 이 책은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에 대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서 써놓은 책이다. 설계 뿐만 아니라 아키텍트가 알아야 하는 것들 또는 고려해야 하는 상황들도 다양한 관점에서 설명을 해준다. 책을 읽으면서 몇가지 내가 기억해두면 좋을것 같다는 부분들을 아래와 같이 작성해봤다. 아키텍처 대 설계 - 아키텍트와 개발자를 나누는 가상의 물리장벽을 통과하는 단방향 화살표는 많은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아키텍처, 설계 모두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생명 주기의 일부로서 항상 서로 동기화되어야 성공할 수 있다. 아키텍처와 코딩 실무간 균형 맞추는 방법 1. POC를 자주 해본다. 가능한 한 프로덕션 수준의 고품질 코드로 작성하는 것이 좋다. 2. 기술 부채나 아키텍처 스토리에 전념한다. 또는 버그를 수정한다. 3. 코드리뷰.. 이전 1 2 3 4 5 ··· 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