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log4j 취약점 사태에 따라서 프로젝트에 log4j 라이브러리를 변경해야 했다.

실제 프로젝트에서는 logback 을 사용중이었고 boot 버전은 2.2.4를 사용하고 있었고 spring-boot-starter-logging 을 사용중이었다.  이 라이브러리의 dependency 는 아래와 같다.

ch.qos.logback » logback-classic 1.2.3 
org.apache.logging.log4j » log4j-to-slf4j 2.12.1
org.slf4j » jul-to-slf4j 1.7.30
출처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logging/2.2.4.RELEASE

 

1. sping-boot-starter-logging 을 제외하고 log4j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

configurations {
    all {
        exclude group: 'org.springframework.boot', module: 'spring-boot-starter-logging'
    }
}

dependencies{
    compile group: 'org.apache.logging.log4j', name: 'log4j-api', version: '2.15.0'
    compile group: 'org.apache.logging.log4j', name: 'log4j-to-slf4j', version: '2.15.0'
    .....
}

그리고 나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보니 다음과 같은 로그가 남았다.

SLF4J: Failed to load class "org.slf4j.impl.StaticLoggerBinder".
SLF4J: Defaulting to no-operation (NOP) logger implementation
SLF4J: See http://www.slf4j.org/codes.html#StaticLoggerBinder for further details.

  .   ____          _            __ _ _
 /\\ / ___'_ __ _ _(_)_ __  __ _ \ \ \ \
( ( )\___ | '_ | '_| | '_ \/ _` | \ \ \ \
 \\/  ___)| |_)| | | | | || (_| |  ) ) ) )
  '  |____| .__|_| |_|_| |_\__, | / / / /
 =========|_|==============|___/=/_/_/_/
 :: Spring Boot ::        (v2.2.4.RELEASE)

SLF4J: Failed to load class "org.slf4j.impl.StaticMDCBinder".
SLF4J: Defaulting to no-operation MDCAdapter implementation.
SLF4J: See http://www.slf4j.org/codes.html#no_static_mdc_binder for further details.

처음에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이 안된건줄 알았는데 알고보니 로그가 안올라간것이었다. 그럼 왜 로그가 안나오는것일까??

일단 정확하지는 않지만 확인해본 바로는 프로젝트에서는 logback 을 사용중이었는데 sping-boot-starter-logging 라이브러리를 제외하는 바람에 logback 관련 라이브러리가 dependency 에 추가지되 않아서라는 추측을 하게 되었다. 

2. 로그백 라이브러리 추가

dependencies{
	implementation group: 'ch.qos.logback', name: 'logback-classic', version: '1.2.7'
    implementation group: 'ch.qos.logback', name: 'logback-core', version: '1.2.7'
    ....
}

위와같이 로그백 라이브러리를 추가했다. 어플리케이션은 정상적으로 기동이 됐다. 그런데 다른 로컬 PC 에서 다시 SLF4J 관련 메세지가 나서 다시 수정을 했다.

3. sping-boot-starter-logging 제외 취소하고 log4j 만 추가.

configurations {
    all {
        exclude group: 'org.springframework.boot', module: 'spring-boot-starter-logging'
    }
}

1번에서 추가했던 위 부분을 삭제하고 2번에 추가했던 로그백 라이브러리도 삭제를 했다. 결과적으로는 log4j 라이브러리만 추가된 상황이다. 실제로 dependency를 확인해보면 다음과 같이 변경이 되어있다.

Gradle: org.apache.logging.log4j:log4j-api:2.15.0
Gradle: org.apache.logging.log4j:log4j-to-slf4j:2.15.0

어플리케이션도 정상적으로 잘 기동이 되었다.

이것때문에 구글에서 SLF4J 관련해서 계속 검색 하면서 삽질했는데 간단하게 해결이 됐다. ㅠㅠ 

 

728x90
반응형
반응형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Service Test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Repository Test

Repository, Service 에 대한 테스트를 살펴봤으니 이제 Controller 테스트를 확인해보자. Controller Test 에는 @WebMvcTest 를 사용했다. Controller 는 확인해야 할 부분이 다음과 같다. 

1. request 를 요청한 url 과 파라메터가 정확한지 여부.
2. 정상 처리 되었을데 요구한 응답을 보내주는지.
3. 비정상일때에 response 에 상태 코드가 정확히 전달 되는지. 

@RunWith(SpringRunner.class)
@WebMvcTest(UserRestController.class)
public class UserRestControllerTest {

    @Autowired
    private MockMvc mockMvc;

    @MockBean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Test
    public void getUsers() throws Exception {

        when(userService.findAll())
                .thenReturn(Arrays.asList(
                        Users.builder()
                                .email("test@test.com")
                                .name("test")
                                .status(UserStatus.APPLIED)
                                .build()
                ));

        this.mockMvc.perform(get("/users"))
                .andDo(print())
                .andExpect(status().isOk())
                .andExpect(jsonPath("@[0].email").value("test@test.com"));

    }
}

테스트케이스를 통해서 response 로 받는 내용과 상태 코드, 그리고 body 에 있는 내용들을 확인 해 볼 수 있다. 

MockHttpServletResponse:
           Status = 200
    Error message = null
          Headers = [Content-Type:"application/json"]
     Content type = application/json
             Body = [{"email":"test@test.com","name":"test","userStatus":"APPLIED"}]
    Forwarded URL = null
   Redirected URL = null
          Cookies = []

그리고 print() 를 했기 때문에 콘솔 창에 위와 같은 결과도 같이 확인 해 볼 수 있다. 

그리고 잘못된 결과값이 나올 경우에도 response 가 잘 리턴 되는지 확인해 봐야 한다.

@Test
public void getUserNotFoundException() throws Exception {

  when(userService.findUserById("test11@test.com"))
    .thenThrow(
      new RuntimeException("User not found")
  );

  this.mockMvc.perform(get("/users/test11@test.com"))
    .andDo(print())
    .andExpect(status().isBadRequest());
}


위 테스트는 파라메터로 "test11@test.com" 을 보냈으나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을때 400 error 와 메세지를 보내는 경우이다. 

MockHttpServletResponse:
           Status = 400
    Error message = null
          Headers = [Content-Type:"text/plain;charset=UTF-8", Content-Length:"14"]
     Content type = text/plain;charset=UTF-8
             Body = User not found
    Forwarded URL = null
   Redirected URL = null

결과로 400 에러가 전달 되며 Body 에는 메세지가 써있다. 

Controller 테스트에서는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은것 같다. request 를 받고 response 를 보내야 하는 곳이기 때문에 파라메터에 대한 검증과 상태코드, response 값과 message 들이 잘 구성되어있어야 한다. Status 코드가 200이 떨어졌을때 보다는 200이 아닌경우의 상황을 더 많이 고려해야 되지 않을까 생각이 된다. 

주의사항) 제 생각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만든 소스코드이고 의견이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2021/02/17 - [Development/Java] - Spring Boot Test Case 작성에 대한 생각 - Repository Test

지난 글에 이어 이번에는 Service 테스트에 대해서 적어보려 한다. 아래는 내가 작성한  UserService  에 대한 테스트케이스 이다.

@RunWith(MockitoJUnitRunner.class)
public class UserServiceTest {


    private UserService userService;

    @Mock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Users user1;

    @Before
    public void setup(){

        userService = new UserService(userRepository);

        user1 = Users.builder()
                .email("test01@test.com")
                .name("test01")
                .status(UserStatus.APPLIED)
                .build();
    }

    @Test
    public void findUserById(){
        when(userRepository.findById("test01@test.com")).thenReturn(Optional.of(user1));
        Users user = userService.findUserById("test01@test.com");

        verify(userRepository).findById("test01@test.com");
        Assert.assertNotNull(user);
        Assert.assertEquals("test01@test.com", user.getEmail());

    }
}

@Before 에서 UserService  를 생성해주고 Users 객체도 만들어 줬다. 그리고  UserRepository 는 Mock 으로 정의해줬다. 

실제 테스트케이스에는 when() 을 이용해서 UserRepository 가 실행됐을 때 미리 정의해둔 user1 객체를 리턴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verify 를 이용해서 실제 실행 여부를 확인했다. 

UserRepository를 Mock 으로 정의해서 테스트 케이스를 만들었다. 이유는 이미 repository 에 관련된 테스트는 repository test 에서 수행했다고 가정을 했기 때문에 굳이 repository를 실제 bean 으로 주입하고 DB 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을 했다. Service 테스트케이스에서 중점적으로 체크해야 할 내용들은 조건문 처리, Exception  처리 등이 있을것 같다. 아래 코드는 Exception 에 대한 테스트 코드이다.

@Test(expected = RuntimeException.class)
public void findUserByIdException(){
  when(userRepository.findById("test011@test.com")).thenThrow(new RuntimeException("User not found"));
  userService.findUserById("test011@test.com");
}

파라메터의 null 체크 같은 경우는 좀 생각을 해봐야 할것 같다. 전에는 null 체크는 무조건 메소드 내에서 한다라고 생각을 했었는데 그렇게 코드를 짜다보니 Controller 에서 이미 null 체크를 한 파라메터를 메소드 내부에서 또 체크하는 경우가 생겼다. 지금 생각하기에는 파라메터를 넘겨주기 전에 null 체크를 해야 할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주의사항) 제 생각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만든 소스코드이고 의견이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을 할때 내가 어렵게 생각했던것은 2가지 이다.

1. Mock 으로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할 것인가? 아니면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작성할 것인다.

2. 테스트용 DB를 따로 둬야 할까?

이 2가지가 항상 풀리지 않는 난제 같았다. 그런데 갑자기 뭔가 기준을 정해서 하면 되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이야기 이긴 하지만.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려는 클래스들의 역할에 생각해 보고 그에 맞는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면 되는 것이다.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보면 테스트케이스를 작성하는 클래스들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꼽을 수 있다.

1. Repository
2. Service
3. Controller
4. RestApiController

그럼 우선 이번 글에서는 Repository 에 대해서만 살펴보려고 한다. Repository 는 실제로 DB 와 연결되어서 CRUD를 할 수 있는 클래스이다. Repository 클래스에 정의되어 있는 메소드를 통해서 내가 원하는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지, 아니면 수정이 되는지 여부를 확인 하는 테스트를 작성하면 된다. 그리고 이부분은 결국 DB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Mock 으로 하기에는 실제 데이터를 가져오는지 여부가 의심(?) 스럽기 때문이다. 

@DataJpaTest
@RunWith(SpringRunner.class)
public class UserRepositoryTest {

    @Autowired
    private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private Users users;
    @Before
    public void setup(){
        users = Users.builder()
                .email("test@test.com")
                .name("test")
                .status(UserStatus.APPLIED)
                .build();

        userRepository.save(users);
    }

    @Test
    public void getUsers(){
        List<Users> all = userRepository.findAll();
        Assert.assertNotNull(all);
        Assert.assertEquals(1, all.size());
    }

    @Test
    public void getUsersById(){
        Optional<Users> byId = userRepository.findById("test@test.com");
        Assert.assertNotNull(byId);
        Assert.assertEquals("test", byId.get().getName());
    }
}

@DataJpaTest 를 사용하면 테스트케이스 실행시에 MemoryDB 를 사용해서 실행을 한다.  테스트케이스를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로그를 볼 수 있다. 

Hibernate: drop table if exists users CASCADE 
Hibernate: create table users (email varchar(100) not null, name varchar(100) not null, user_status integer not null, primary key (email))
2021-02-17 10:56:06.114  INFO 2856 --- [    Test worker] o.h.e.t.j.p.i.JtaPlatformInitiator       : HHH000490: Using JtaPlatform implementation: [org.hibernate.engine.transaction.jta.platform.internal.NoJtaPlatform]
2021-02-17 10:56:06.120  INFO 2856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1-02-17 10:56:06.224  INFO 2856 --- [    Test worker] c.p.common.user.web.UserRepositoryTest   : Started UserRepositoryTest in 2.808 seconds (JVM running for 3.635)
2021-02-17 10:56:06.293  INFO 2856 --- [    Test worker] o.s.t.c.transaction.TransactionContext   : Began transaction (1) for test context [DefaultTestContext@588bc70b testClass = UserRepositoryTest, testInstance = com.polpid.common.user.web.UserRepositoryTest@4f8e0671, testMethod = getUsers@UserRepositoryTest, testException = [null], mergedContextConfiguration = [MergedContextConfiguration@34cf76 testClass = UserRepositoryTest, locations = '{}', classes = '{class com.polpid.common.user.SpringCommonUser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Location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DataJpa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set[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verrid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127dfcc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filter.TypeExcludeFiltersContextCustomizer@351584c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d5d4db2d,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Factory$Customizer@5948c9fa, [ImportsContextCustomizer@efe207e key =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cache.Cach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data.jpa.JpaRepositories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flyway.Flyway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TransactionManager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JdbcTemplat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liquibase.Liquibas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transaction.Transaction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jdbc.TestDatabas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TestEntityManager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61218ded,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767673,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rgs@1],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attributes = map[[empty]]]; transaction manager [org.springframework.orm.jpa.JpaTransactionManager@4bc55dd0]; rollback [true]
Hibernate: select users0_.email as email1_0_0_, users0_.name as name2_0_0_, users0_.user_status as user_sta3_0_0_ from users users0_ where users0_.email=?
Hibernate: insert into users (name, user_status, email) values (?, ?, ?)
Hibernate: select users0_.email as email1_0_, users0_.name as name2_0_, users0_.user_status as user_sta3_0_ from users users0_
2021-02-17 10:56:06.747  INFO 2856 --- [    Test worker] o.s.t.c.transaction.TransactionContext   : Rolled back transaction for test: [DefaultTestContext@588bc70b testClass = UserRepositoryTest, testInstance = com.polpid.common.user.web.UserRepositoryTest@4f8e0671, testMethod = getUsers@UserRepositoryTest, testException = [null], mergedContextConfiguration = [MergedContextConfiguration@34cf76 testClass = UserRepositoryTest, locations = '{}', classes = '{class com.polpid.common.user.SpringCommonUserApplication}', contextInitializerClasses = '[]', activeProfiles = '{}', propertySourceLocations = '{}', propertySourceProperties =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DataJpaTestContextBootstrapper=true}', contextCustomizers = set[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verrid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Factory$DisableAutoConfigurationContextCustomizer@127dfcc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filter.TypeExcludeFiltersContextCustomizer@351584c0,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properties.PropertyMappingContextCustomizer@d5d4db2d,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web.servlet.WebDriverContextCustomizerFactory$Customizer@5948c9fa, [ImportsContextCustomizer@efe207e key =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cache.Cach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data.jpa.JpaRepositories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flyway.Flyway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TransactionManager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JdbcTemplat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liquibase.Liquibas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transaction.Transaction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jdbc.TestDatabase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TestEntityManagerAutoConfiguration]],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filter.ExcludeFilterContextCustomizer@61218ded, org.springframework.boot.test.json.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Factory$DuplicateJsonObjectContextCustomizer@e767673, org.springframework.boot.test.mock.mockito.MockitoContextCustomizer@0,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Args@1], contextLoader =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 parent = [null]], attributes = map[[empty]]]
2021-02-17 10:56:06.755  INFO 2856 --- [extShutdownHook]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Closing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1-02-17 10:56:06.755  INFO 2856 --- [extShutdownHook] .SchemaDropperImpl$DelayedDropActionImpl : HHH000477: Starting delayed evictData of schema as part of SessionFactory shut-down'
Hibernate: drop table if exists users CASCADE 

 

테이블을 생성하고 Before 에 정의 되어있는 데로 데이터를 insert 한후 테스트 가 종료되면 테이블을 Drop 한다. 이정도면 Repository에 정의 되어있는 메소드가 내가 생각한대로 동작을 하는지 검증하는데는 크게 문제가 없다. 실제 DB에서 가져오도록 설정도 가능하지만 내 기준에서 테스트는 실제 DB와는 분리 되어야 한다고 생각을 하기 때문에 메모리 DB가 적합한것 같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도메인을 정의할때 필드를 DB의 예약어와 동일하게 작성을 하면 에러가 날 수 있다. 예를 들어 order 라는 필드가 있으면 테이블이 생성될때 에러가 난다. 

org.hibernate.tool.schema.spi.CommandAcceptanceException: Error executing DDL "create table users (email varchar(100) not null, name varchar(100) not null, order integer, user_status integer not null, primary key (email))" via JDBC Statement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67)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applySqlString(SchemaCreatorImpl.java:439)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applySqlStrings(SchemaCreatorImpl.java:423)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createFromMetadata(SchemaCreatorImpl.java:314)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perform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66)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35)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21)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erformDatabaseAction(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56)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rocess(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73)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init>(SessionFactoryImpl.java:316)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BuilderImpl.build(SessionFactoryBuilderImpl.java:469)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259) [hibernate-core-5.4.18.Final.jar:5.4.18.Final]
	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 [spring-orm-5.2.8.RELEASE.jar:5.2.8.RELEASE]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 [spring-orm-5.2.8.RELEASE.jar:5.2.8.RELEASE]
	at org

그렇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조심하면 된다.

Repository 테스트에 대한 결론은 메모리 DB를 사용해서 실제 CRUD 를 테스트 해보면 된다.

이제 다음 글에서는 Service 테스트에 대해서 살펴볼 예정이다.

주의사항) 제 생각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만든 소스코드이고 의견이기 때문에 틀린 부분이 있을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Spring Data Jpa 를 사용하게 되면서 전에 쓰지 않았던 paging 기능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 한다. 

Domain 을 조회하는 Repository interface를 만들때에 JpaRepository 를 상속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JpaRepository 를 살펴보면 내부에 이렇게 구현이 되어있다.  

public interface JpaRepository<T, ID> extends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QueryByExampleExecutor { 
..... 
} 

그리고 다시 PagingAndSortingRepository 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ublic interface PagingAndSortingRepository<T, ID> extends CrudRepository<T, ID> { 
    Iterable findAll(Sort var1); 

    Page findAll(Pageable var1); 
} 

위에서 볼수 있듯이 Page를 리턴해주는 메소드가 이미 포함되어있다. 

 

그럼 간단히 검색 조건 없이 모든 Data를 검색하는 코드를 작성해보자

 

AccountRestController.java

@GetMapping
public Page<AccountResDto> getPageableAccountList(Pageable pageable){
	return accountService.findAll(pageable);
}

AccountServiceImpl.java

@Override
public Page<AccountResDto> findAll(Pageable pageable) {
  Page<Account> accounts = accountRepository.findAll(pageable);
  return accounts.map(AccountResDto::new);
}

 

http://localhost:9000/api/v1/accounts 로 요청을 하면 다음과 같이 응답을 받을수 있다.

{
    "content": [
        {
            "loginId": "admin",
            "username": "admin",
            "email": "admin@spring.com"
        },
        {
            "loginId": "auser01",
            "username": "user",
            "email": "user01@spring.com"
        },
        {
            "loginId": "guest",
            "username": "guest",
            "email": "guest@spring.com"
        },
        {
            "loginId": "buser02",
            "username": "user",
            "email": "user02@spring.com"
        },
        {
            "loginId": "cuser03",
            "username": "user",
            "email": "user03@spring.com"
        },
        {
            "loginId": "duser04",
            "username": "user",
            "email": "user04@spring.com"
        },
        {
            "loginId": "euser05",
            "username": "user",
            "email": "user05@spring.com"
        },
        {
            "loginId": "fuser06",
            "username": "user",
            "email": "user06@spring.com"
        },
        {
            "loginId": "guser07",
            "username": "user",
            "email": "user07@spring.com"
        },
        {
            "loginId": "huser08",
            "username": "user",
            "email": "user08@spring.com"
        },
        {
            "loginId": "iuser09",
            "username": "user",
            "email": "user09@spring.com"
        },
        {
            "loginId": "juser10",
            "username": "user",
            "email": "user10@spring.com"
        }
    ],
    "pageable": {
        "sort": {
            "sorted": false,
            "unsorted": true,
            "empty": true
        },
        "offset": 0,
        "pageSize": 20,
        "pageNumber": 0,
        "paged": true,
        "unpaged": false
    },
    "last": true,
    "totalPages": 1,
    "totalElements": 12,
    "number": 0,
    "size": 20,
    "sort": {
        "sorted": false,
        "unsorted": true,
        "empty": true
    },
    "first": true,
    "numberOfElements": 12,
    "empty": false
}

리턴 결과를 잘 보면 totalPages 는 1, data 개수는 12, size 는 20 으로 되어있다. 

 

그리고 정렬된 결과를 얻고 싶으면 다음과 같이 파라메터를 추가해주면 된다.

 

http://localhost:9000/api/v1/accounts?sort=loginId,DESC

 

이렇게 하면 loginId 로 정렬된 형태의 결과를 받을수 있다. (그런데 주의할점은 컴마(,) 이후에 공백이 포함되어 있으면 에러가 난다 -_-)

 

그리고 size 도 지정할수 있는데 위 결과는 지정을 하지 않아서 기본 default 로 20 으로 설정된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파라메터에 size 값을 지정해주면 지정한 값으로 size 가 정해지며 그에 따른 totalPages 값도 달라지게 된다.

 

위 코드가 포함된 소스는 아래 주소에서 볼수 있다. (단, 계속 수정을 하기 때문에 소스가 완전히 일치하지 않을수 있다. )

 

https://github.com/blusky10/study_spring

 

blusky10/study_spring

Contribute to blusky10/study_spring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728x90
반응형
반응형

 

Spring boot Application 을 Dockerfile 로 build 할 때에 profile 값을 전달 해야해서 찾아본 것을 적어보았다.

profile 값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1.Dockerfile 에 profile 값을 넣고 build 를 한다.

FROM java:8
ADD target/app.jar app.jar
RUN bash -c 'touch /app.jar'
ENTRYPOINT ["java", "-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Dspring.profiles.active=dev","-jar","/app.jar"]

2.Docker run 할때 환경 변수로 전달한다.

docker run -d -p 8080:8080 -e "SPRING_PROFILES_ACTIVE=dev" --name rest-api dockerImage:lates

3.DockerCompose 로 전달한다.

version: "3"
services:
	rest-api:
	image: rest-api:0.0.1
	ports:
		- "8080:8080"
	environment:
		- "SPRING_PROFILES_ACTIVE=dev"

 

여기에서 난 1번을 선택해서 적용을 했는데 한가지 Dockerfile 에 전달되는 profile 값이 변경 될수 있도록 하고 싶었다. 그럴려면 docker build 시점에 값을 넘겨줘야 하는데 document를 찾아보니 ARG 를 사용하게 되면 docker build 시점에 값을 넘길수가 있다.

FROM ubuntu
VOLUME /tmp
ADD app.jar app.jar
RUN bash -c 'touch ./app.jar'
ARG SPRING_PROFILES_ACTIVE
RUN echo $SPRING_PROFILES_ACTIVE
ENV SPRING_PROFILES_ACTIVE=$SPRING_PROFILES_ACTIVE
ENTRYPOINT ["java","-Djava.security.egd=file:/dev/./urandom", "-jar","./app.jar"]
docker build --build-arg SPRING_PROFILES_ACTIVE=dev .

결과적으로 docker build 시에 --build-arg 로 SPRING_PROFILES_ACTIVE 값을 넘겨주고 Dockerfile 에서는 전달 받은 SPRING_PROFILES_ACTIVE 값을 ENV 로 등록을하면 ENTRYPOINT 에 -D 옵션을 넣어서 실행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profile 이 적용되서 실행이 된다.

 


참고자료

https://docs.docker.com/engine/reference/builder/#arg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43707770/spring-boot-in-docker

 

728x90
반응형
반응형

컨트롤러를 만들어서 Testcase 를 작성한 후에 성공할거라 믿고 돌려봤는데 IllegalArgumentException 이 발생했다.

컨트롤러 코드와 테스트 케이스 코드는 각각 다음과 같다.


UserController.java

1
2
3
4
5
6
@GetMapping(value = "/users/{email}")
public UserDto.Res getUser(@PathVariable @Valid final String email){
    Optional<Users> users = userService.findByEmailValue(email);
 
    return new UserDto.Res(users.get());
}
cs


UserControllerTest.jav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Before
public void setUp(){
    users = Users.builder()
            .email(Email.builder().value("test@test.com").build())
            .firstName("TEST")
            .lastName("KIM")
            .password("password")
            .build();
}
 
@Test
public void getUserTest() throws Exception {
 
    given(this.userController.getUser("test@test.com")).willReturn(new UserDto.Res(this.users));
 
    ResultActions resultActions = this.mockMvc.perform(
            get("/users/{email}""test@test.com"))
            .andDo(print());
 
    resultActions
            .andExpect(jsonPath("firstName").value("TEST"))
            .andExpect(jsonPath("lastName").value("KIM"))
            .andExpect(MockMvcResultMatchers.status().isOk());
}
cs


Exception

Caused by: java.lang.IllegalArgumentException: Name for argument type [java.lang.String] not available,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ot found in class file either.


대체 뭐지??? 맞게 parameter 도 넘겼는데 왜 못찾는거지....



Spring Document 를 보니 다음과 같은 내용을 찾을수 있었다.

The matching of method parameter names to URI Template variable names can only be done if your code is compiled with debugging enabled. If you do have not debugging enabled, you must specify the name of the URI Template variable name to bind to in the @PathVariable annotation.

<출처 : https://docs.spring.io/spring/docs/3.0.0.M3/reference/html/ch18s02.html >


컴파일 할때 debugging enabled 가 되어야 동작을 하는데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반드시 @PathVariable 사용시 name 에 값을 줘야 한다고 되어있다.


그럼 컴파일 할때 debugging enabled 는 뭔가?? -_-;;

java 소스를 컴파일할때 사용되는 javac 명령어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옵션이 있다. 컴파일시에 -g 옵션을 사용할 경우 로컬 지역변수(local variables) 를 포함한 debugging information 을 생성하고 디폴트로는 라인 넘버와 소스파일 정보만 생성된다고 써있다.


-g
Generate all debugging information, including local variables. By default, only line number and source file information is generated.
-g:none
Do not generate any debugging information.
-g:{keyword list}
Generate only some kinds of debugging information, specified by a comma separated list of keywords. Valid keywords are:
source
Source file debugging information
lines
Line number debugging information
vars
Local variable debugging information

<출처 : https://docs.oracle.com/javase/7/docs/technotes/tools/windows/javac.html>



그럼 간단한 자바 클래스를 컴파일 해서 확인해보자.


1
2
3
4
5
6
public class Test {
    public static void main (String[] args) {
        String name = "test";
        System.out.println(name);
    }
}
cs

javac Test.java (옵션 없이 할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 javap -l Test                                 
Compiled from "Test.java"                       
public class Test {                             
  public Test();                                
    LineNumberTable:                            
      line 4: 0                                 
                                                
  public static void main(java.lang.String[]);  
    LineNumberTable:                            
      line 6: 0                                 
      line 7: 3                                 
      line 8: 10                                
}                                               
cs


javac -g Test.java (-g 옵션을 붙여서 할경우)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 javap -l Test
Compiled from "Test.java"
public class Test {
  public Test();
    LineNumberTable:
      line 40
    LocalVariableTable:
      Start  Length  Slot  Name   Signature
          0       5     0  this   LTest;
 
  public static void main(java.lang.String[]);
    LineNumberTable:
      line 60
      line 73
      line 810
    LocalVariableTable:
      Start  Length  Slot  Name   Signature
          0      11     0  args   [Ljava/lang/String;
          3       8     1  name   Ljava/lang/String;
}
cs


각각의 경우를 javap 명령어로 확인해 보았다. (javap 명령어는 컴파일된 class 파일을 역 어셈블 해주는 명령어 있다. -l 옵션을 붙이면 로컬변수 테이블까지 보여준다.)


첫번째에서는 기본적으로 라인만 보이는데 두번째에서는 로컬 변수까지 다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맨 처음 Testcase 에서 발생했던 문제는 UserController.java 를 컴파일 했을때 -g 옵션이 안들어가서 컴파일 후에 @PathVariable 에 있는 변수를 못찾아서 발생한 문제였다. 이게 IntelliJ 에서 따로 compile 옵션설정을 해야 할지는 잘 모르겠는데 나는 @PathVariable 에 name 을 명시해주는 방법으로 해결을 했다.


참고자료

https://www.logicbig.com/tutorials/spring-framework/spring-web-mvc/spring-path-variable.html

https://objectpartners.com/2010/08/12/spring-pathvariable-head-slapper/

https://www.logicbig.com/tutorials/spring-framework/spring-web-mvc/parameter-name-discoverer.html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746894/what-does-the-javac-debugging-information-option-gvars-do

728x90
반응형
반응형

요즘에 한참 클라우드 관련 내용들을 공부하고 도커, 쿠버네티스 에 대한 내용을 보다보니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한 내용들을 자주 접하게 되었다. 컨테이너를 사용한 환경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하고 관리 하려면 아무래도 덩치가 큰것 보다는 좀더 작게 모듈화 해서 배포 하는것이 나을 것이다. 어플리케이션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은 간단히 생각해봐도 배포시간이 줄어들고 그렇게 되면 다운 타임 또한 줄어들게 된다. (물론 배포 전략에 따라서 이런 부분들은 없도록 하는게 맞다.) 그래서 나 또한 마이크로 서비스에 대해서 다시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것저것 책을 찾아보고 읽어보고 있었다. 전부터 관심이 있어서 한번 읽어봐야겠다고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길벗 개발자 리뷰어에 선정되어서 이렇게 책을 접할수 있게 되었다. (베타리더때도 신청을 했었지만 그때에는 선정되지는 못했었다. ^^;)



목차는 아래와 같이 구성이 되어있다.


1장 스프링, 클라우드와 만나다.

2장 스프링 부트로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

3장 스프링 클라우드 컨피그 서버로 구성 관리

4장 서비스 디스커버리

5장 나쁜 상황에 대비한 스프링 클라우드와 넷플릭스 히스트릭스의 클라이언트 회복성 패턴

6장 스프링 클라우드와 주울로 서비스 라우팅

7장 마이크로서비스의 보안

8장 스프링 클라우드 스트림을 사용한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

9장 스프링 클라우드 슬루스와 집킨을 이요한 분산추적

10장 마이크로 서비스의 배포


부록 A 데스크톱에서 클라우스 실행

부록 B OAuth2 그랜트 타입


내가 기존에 알고 있던 내용들은 주로 컨피그 서버나 유레카를 이용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그리고 Zuul 을 사용한 라우팅 정도만 약간 해본 정도였다. 그런데 목차에서 보면 알수 있듯이 그것 이외에 다양한 내용들이 있다. 실패 전략을 통한 복구 패턴(5장), 인증및보안(7장), 그리고 이벤트 처리(8장)가 수록되어있다. 그리고 마이크로서비스 하면 중요하게 생각해야할 모니터링에 대해서 9장에 잘 설명해 주고 있다. 


또 내가 OAuth 2 처음 공부할때에 grant type 이 잘 정의가 안되어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았었는데 이 내용도 부록을 통해서 설명해주고 있어서 공부하고 있는 입장해서 정말 알찬 구성인것 같다. 



다음은 책 내용을 살펴보자.



코드에 대한 내용과 그 의미들이 코드와 함께 담겨져 있다. 개인적으로 이런 형태의 코드 설명을 좋아하는 편이다. 그냥 종이 위에 코드만 써있는 것보다는 주석 이외에 이렇게 설명을 추가해주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 



그리고 내가 읽으면서 가장 맘에 드는 부분이다. 마이크로서비스에 대한 개념과 구성을 거의 빠짐없이 그림으로 설명을 다 해준다. 마이크로 서비스 자체가 작은 단위로 쪼개서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기 때문에 머릿속에서 그 큰 그림을 떠올리기는 쉽지가 않다. 어디에서 부터 시작을 해야 할지 막막해질 때도 있다. 그런데 이 책에서 고맙게도 구성, 개념을 알기 쉽게 그림을 통해서 설명을 해준다. 이 부분이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인것 같다. 


책의 전체적인 내용들을 봤을때에는 초보자들을 위한 책이기 보다는 어느정도 Spring Boot 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개발자에게 도움이 되는 책인것 같다. Spring Boot 에 대한 책이 아니라서 Spring Boot를 모르는 사람이 보기에는 코드부터가 어려울 수 있다. 그래서 Spring Boot 로 개발을 해봐서 코드를 이해하는데에 문제가 없는 분들이 마이크로 서비스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수 있는 책이라고 생각된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지난번 Google Summit 에 이어 이번에는 피보탈에서 주최하는 SpringOne Tour 세미나에 참석을 했다.


https://springonetour.io/2018/seoul


우연히 Facebook 타임라인에 뜬 세미나 일정과 Agenda 를 보고 신청을 했었다. Spring 관련 세미나라서 내용에 대한 기대가 컸다. 세미나의 전체적인 주제는 Reactive 와 Cloud 관련 내용들이 많이 있었다. 회사에서 많이 쓰지는 않는 내용들이었지만 그래도 공부하면서 봤었던 유투브에서 봤던 내용들이어서 어느정도 이해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부분 라이브 코딩이 포함되어 있어서 오히려 더 도움이 됐다. 


세션 요약

1. Reactive Spring with Spring Boot 2.0 - Mark Heckler


화면에는 Reactive Java 라고 되어있지만 다음 페이지에 바로 Reactive Kotlin 으로 변경했다. 라이브 데모 소스도 Kotlin 으로 작성을 했지만 눈으로 따라가는데에는 어렵지 않았다. 내용은 reactive programing 에 대한 내용이었다. 기존에 application 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양의 Thread 가 필요 했다면 이제는 non-blocking 이다 event-driven 을 이용해서 그 Thread 를 좀더 줄일수 있다, 아니 일정 수준으로 계속 유지 할수 있다는 내용 이었다. 그리고 backpressure 라는 내용이 있었는데 그부분은 좀 생소했다. 처음 듣는 단어라서 좀더 찾아봐야 할것 같다. 


참고사이트

http://www.reactive-streams.org/

https://projectreactor.io/

https://github.com/mkheck/FSR


2. Cloud-Native Spring - Josh Long

두번째 세션에서는 Josh Long 의 발표가 있었다. spring 관련 내용을 찾다 보면 이분 내용의 글들이 많이 있었는데 실제로 보니 정말 유쾌한 분이었다. 유머 감각도 있고. 그리고 놀라운것은 코드 작성 속도가 정말 빠르다. 말도 빨리 하는데 코드 작성하는 속도는 말보다 빠르다. 짧은 시간내에 라이브 코딩으로 gateway도 구현하는 라이브 코딩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역시나 처음본 rsocket?? 을 이용해서 코드를 바꿔서 보여주기도 했다. 


3. Spring Cloud Gateway - Younjin Jeong


API Gateway 에 대한 내용이었다. 그중 Netflix 에서 Zuul 을 사용했는데 asynchronous  non-blocking을 지원하기 위해 Zuul 2 를 새로 만들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게 non-blocking 이다 보니 기존 버전과 하위 호환성은 없다고 한다. 완전 새로은 제품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Netflix 에서 자기들이 마이크로서비스를 위해서 사용했던 기술들을 라이브러리로 해서 많이 나왔지만 이게 내부에서 사용했던 것들이라서 소스코드가 깔끔하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다. 약간 기억이 정확하지는 않지만 Spring 에서는 Zuul 2 는 아직 지원을 않하고 Zuul 1 을 지원한다고 했던것 같다. (정확하지 않음)


그리고 Zuul 을 설명해주면서 Ribbon 하고 비교설명해준게 내게 도움이 많이 됐다. 전에도 이 2개를 헷갈리고 뭔차이지 라는 생각은 하고 있었는데 오늘 설명을 듣고 좀 명확해 졌다.


Zuul 은 외부 트래픽에 대해서 이 트래픽을 어떤 서비스로 보낼지를 결졍해준다. 

Ribbon 은 Zuul 에서 결정된 서비스중 어느곳으로 보낼지를 결정해준다. 


또 Netfilx 에서 자기들이 직접 개발 운영하면서 Gateway 를 설계할때 Concurrent Connection, Thread Count, Latency 를 잘 판단해서 설계를 해야 한다고 했다. 저건 Youtube 동영상을 캡쳐한 화면인데 시간이 될때 한번 봐야겠다. 




참고사이트

https://github.com/spring-cloud/spring-cloud-gateway

https://github.com/spring-cloud-samples/spring-cloud-gateway-sample

http://slides.com/spencer/spring-cloud-gateway

https://github.com/ryanjbaxter/gateway-s1p-2018



4. Cloud Event Drive Architectures with Spring Cloud Stream 2.0 - Jakub Pilimon


세션 중반까지 잘 듣다가 잠깐 졸았던게 후회되는 세션이었다. 대체 왜 졸았을까.......



먼저 개발을 하기 전에 Event Storming 에 대한 이야기 이다. Event Storming 은 실제 현업과 이야기를 하면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시스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는것이다. 기술적인 내용 없이 어떤 기능들이 있는지 이야기를 하는 부분이다. Event Storming 을 통해서 우리는 그 대화에서 Event 들을 도출해낸다. 


또 Event Storming 을 통해서 도출된 Event 에 대해서 우리가 해야 할 부분은 이 event 가 동작해야 하는 조건들을 추가하는 것이다. 바로 Event 에 대한 트리거를 확인 하는 작업이다. 


하아.. 이 다음이 문제다. 잠깐 졸고 일어났더니 라이브 코딩이 한창이었다. 그런데 내용을 보니 event 를 저장해서 뭔가를 하는 부분이었는데 그게 바로 Event Sourcing 부분이었던것 같다. 정신을 차리고 코드를 따라가보긴 했는데 결과적으로 주된 내용은 어플리케이션에서 트랜잭션이 일어날 경우 바로 DB 에서 처리하는게 아니라 그걸 발생시킨 Event를 하나씩 저장을 해서 처리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럼 왜 이렇게 하느냐에 대한 설명이 나왔다. 이해가 가는 부분도 있고 안되는 부분도 있어서 좀더 공부를 해봐야 할것 같다. 


- 장점

  이벤트를 통해서 모델에 대한 오딧이 가능하다. (이건 좀 이해가 안갔다... )

  이벤트 기반으로 히스토리 확인이 가능하다.

  특정 이벤트 별로 확인 및 분석이 가능하다.

- 단점

  코드가 많고 복잡하다.

  기존에 만들었던 방식과 다르기 때문에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참고사이트

https://github.com/ddd-by-examples

https://github.com/pilloPl/credit-cards-producer

https://github.com/pilloPl/credit-cards-consumer

http://pillopl.github.io/


5. Spring, Functions, Serverless and You - Nate Schutta

이번 세션에서는 아키텍처에 대한 내용들이 주제 였다. 세미나 가면 자주 듣던 예인데 전에는 Server를 애완동물처럼 애지중지 하게 다뤘지만 이제는 Server 가 애완동물이 아닌 가축으로 생각되고 있다는 이야기 이다. 다시 말해 Server가 죽으면 교체한다는 의미이다. 

위 사진에서 보여 주듯이 위로 올라갈 수록 Complexity 가 줄어들고 운영하기 좋아지기 때문에 최대한 Serverless 로 올려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4번 세션이후로 점점 집중력이 떨어져서 잘 듣지 못했다..)


6. Spring Boot & Cloud on Pivotal application Service - Younjin Jeong

이번 세션에서는 Pivotal 에서 어떤 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고 어떤 플랫폼들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을 차지 했다. 

내용중에 이부분이 좀 와닿았다. 개발자들이 운영을 하는데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고 있는가. 새로운 기능을 만드는 것보다 대부분의 시간이 기존에 만들었던 거를 수정하고 디버깅하는데에 시간이 사용된다. 이걸 무슨 단어가 있었는데 생각이 안난다. 결과적으로 저렇게 되면 개인에게도 손해고 회사에도 손해이다. 

그래서 필요한게 Full Cycle Developers 다. Netflix 에서 한 말이고 어느정도 와닿는다. 하지만 저렇게 되려면 개인만 해서는 안되고 조직 자체가 그렇게 변해야 하기 때문에 쉬운 일은 아니다. 


Full Cycle Developers at Netflix — Operate What You Build


7. Using Spinnaker to Create a Development Workflow on Kubernetes - Paul czarkowski

마지막 세션에서는 Kubernetes 에 대한 내용이 많이 나왔다. 최근에 자주 보던 내용이어서 많이 집중해서 보지는 않았는데 마지막에 나온 Spinnaker 에 대해서는 좀 찾아 봐야겠다. 


마무리


마지막에 운좋게 당첨되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자바" 책을 받아왔다. 세션 중간에 책 사서 Josh Long 한테 사인 받을까 했었는데 참길 잘했다. ^^ 

앞에서도 말했지만 세션 전체적으로 모르는 내용이 많이 있긴 했지만 중간중간 중복해서 설명되는 내용도 있었고 코드를 따라가다 보면 이해가 되는 내용도 많았다. 역시 개발자는 코드로 대화를 할수 있어야 한다는게 괜한 말이 아니었다. ^^;; 최근 GCP 공부하다 보니 Spring 쪽은 약간 소홀한 면이 있었는데 오늘 세미나를 듣고 보니 잠깐 쉬는동한 공부해야 할게 참 많아졌구나라고 느꼈다. 좀더 분발해야 할것 같고 궁금했던 부분들에 대해서는 빨리 찾아봐야겠다. 


Action Item

Backpressure 란 무엇인지 찾아보자.

rsocket 에 대해서 찾아보자. Facebook 에서 사용한다고 하는데??

Zipkin 사용해보면 좋을것 같다.

Event Sourcing 에 대해서 개념 파악해보고 소스한번 다시 보자.

Spinnaker 에 대해서 알아보자.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