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Development/Frontend skills

(18)
npm install --save --save-dev 맨날 붙여넣기만 하다가 오늘은 갑자기 의문이 들었다.npm install --save 하고 --save-dev가 대체 뭔 차이지? 잘 안쓰고 맨날 찾아서 붙여넣기만 하니 알리가 있나.. 그래서 찾아봤다. 구글 검색을 해보니 아래와 같은 글이 있었다. https://www.linkedin.com/pulse/npm-dependencies-vs-devdependencies-daniel-tonon 내가 쓴 내용은 위에 링크의 글을 일부 번역한 글이다. npm install module --save 특정 A 모듈을 Install 할 때 --save 옵션을 넣으면 package.json 에 dependencies 목록에 포함된다. Dependencies 목록에 있다는 것은 현재 npm 모듈이 A 모듈 없이는 사용할..
map() 메소드 사용 React 에서 사용하는 map() 메소드는 파라미터를 전달하여 새로운 배열을 생성한다. 최근에 본 자바의 Stream 에서 map 의 기능하고 비슷해보인다. 아니 아마도 java가 functional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려고 하면서 비슷하게 구현해놓은것 같다. 아래와 같은 contractData 라는 state를 저장해 놓는다. 123456789101112 constructor(props){ super(props); this.state={ contactData:[ {name:"Abet", phone:"010-0000-0001"}, {name:"Betty", phone:"010-0000-0002"}, {name:"Charlie", phone:"010-0000-0003"}, {name:"David", pho..
React 에서 props 사용 props 는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데이터중 변하지 않는 데이터를 다룰때 사용한다. Parent 컴포넌트에서 child 컴포넌트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props를 사용한다. 컴포넌트의 render() 메소드 내부에 {this.props.propsName} 형태로 넣고 컴포넌트에서 사용할 때에는 안에 propsName='value' 형태로 값을 설정 한다. - render() 메소드 내부 12345678910111213class App extends React.Component { render(){ let text = "Hello HI"; return ( ); }}Colored by Color Scriptercs - 컴포넌트 1234ReactDOM.render( , rootElement);cs - Defau..
React.. 끄적끄적. - React는 UI를 만들기 위한 라이브러리이다. framework 가 아니다. - React는 Virtual DOM 을 사용한다. 그래서 Virtual DOM의 전후 상태를 비교해서 변경된 부분만 새로 반영한다. - 현재 facebook 에서 라이브러리 관리를 하고 있어서 한동안 없어질 일은 없다. https://facebook.github.io/react/
Mac 에서 Node.js 설치 react 공부하려고 찾아보다가 http://velopert.com/ 라는 사이트를 우연히 찾게 되었다.내용도 좋고 해서 이 분의 블로그 내용을 한번 따라해보려고 mac 에 환경 설정을 해보았다.먼저 node.js 를 설치해야 해서 찾아봤는데.. 초 간단.. 먼저 node.js 사이트에 가서 파일을 다운 받는다. 그리고 클릭, 클릭, 클릭 그리고 설치 완료.. 터미널 창에서 npm 쳤을때 help 명령어들 나오면 정상설치다..
jquery radio button 속성 설정 jquery에서 라디오 버튼에 대한 속성 설정시1. 버튼에 대한 체크 해제 하고 싶을때$('input[name=myRadio]').removeAttr("checked");
JavaScript 객체 변환 toJSON javascript 객체를 JSON 객체로 변환하는 함수.JSON.parse() : JSON 형태 문자열을 자바스크립트 객체로 변환JSON.stringify() : 자바스크립트 객체를 JSON 형슥으로 변환결과값Object {name: "TEST", gender: "Male"} test.html:10{"name":"TEST","gender":"Male"} test.html:11Fri May 10 2013 08:59:51 GMT+0900 (대한민국 표준시) test.html:152013-05-09T23:59:51.036Z test.html:16"2013-05-09T23:59:51.036Z" test.html:17"2013-05-09T23:59:51.036Z" 정말 요즘 javascript, jquery때문..
JavaScript var Scope 자바 스크립트를 보다보면 편리하다는 느낌이 들긴 하는데 한편으로는 멘붕이 오기도 한다. -_-;; 정의를 안해도 그냥 가져다 쓰면 되고.. 파라메터리 변수, 함수 등을 맘대로 넘기고.. 참... 편리한건지.. 난장판인건지.... 아래 소스를 보게 되면.. 같은 이름의 변수들이 계속 정의된다. -_-;;; 허용이 되긴 하지만.. 저렇게 사용하지 말아야지.. 라는 생각이 든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