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Resource Server2 [Spring Boot]Oauth server 적용해보기 Spring Boot Project에 OauthServer를 설정해보았다. 소스는 https://github.com/blusky10/study_spring 의 simple-spring-oauth 브랜치를 다운로드 받으면 된다. Client 는 private이라는 api에 접근하기 위해서 oauthserver 에 token 발급 요청을 한다. 발급된 token을 가지고 private이라는 api에 접근한다. (Client 는 미리 등록되어있다고 가정한다. 따라서 Client를 Oauth서버에 등록하는 과정은 생략된다.) 1. 먼저 ResourceServer를 설정한다. ResourceServer는 Resource Owner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 2017. 9. 4. [OAuth] Oauth의 간략한 흐름. Oauth 2.0 에 대해서 공부를 하다가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해서 정리를 했다. Access Token : 보호된 리소스에 일정 기간동안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진 문자열- Scope : Token 소유자가 접근할수 있는 보호된 리소스 셋 Client : Resource를 이용하려고 하는 Web 이나 App. Resource Sever : 실제 정보를 가지고 있는 대상. Resource Owner : Resource 에 대한 소유자. Access Token 을 얻는 절차는 아래처럼 설명할 수 있다. Resource Owner Client Resource Server 1. Client 에게 정보 요청 2. Resource Server 에 있는 Resource Owner의 정보를 접근 할수 있.. 2017. 7. 4.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